산업 기업

메타버스로 임직원 만난 정의선 “일상에서 신기술 실현하겠다”

3일 현대차그룹 메타버스 신년회 개최

정의선 “가능성을 고객 일상으로 실현하는 한 해”

연구개발-고객관리 전 영역서 전동화 전환 추진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일 메타버스 ‘라이브 스테이션’ 무대에서 전 세계 임직원들을 향해 새해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사진 제공=현대차그룹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일 메타버스 ‘라이브 스테이션’ 무대에서 전 세계 임직원들을 향해 새해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사진 제공=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 메타버스 신년회/사진 제공=현대차그룹현대차그룹 메타버스 신년회/사진 제공=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 메타버스 신년회/사진 제공=현대차그룹현대차그룹 메타버스 신년회/사진 제공=현대차그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올해를 ‘신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해온 노력이 가시화하는 해’로 규정하고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미래 사업 청사진을 한층 구체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 회장은 3일 신년회를 통해 “올해는 현대차(005380)그룹이 그간 기울여 온 노력을 가시화해 ‘가능성을 고객의 일상’으로 실현하는 한 해로 삼고자 한다”고 전했다. 지난 2019년 게임 체인저로의 전환을 선언한 이후 진행한 노력을 고객들이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다. 이를 위해 고객이 신뢰하는 ‘친환경 톱 티어 브랜드’로서 기반을 다지고, 인공지능을 비롯한 소프트웨어 원천기술을 확보해 자율주행, 로보틱스,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미래사업 영역에서 스마트 솔루션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특히 이날 정 회장은 현대차그룹이 자체 구축한 메타버스의 ‘라이브 스테이션’ 무대에서 전 세계 임직원들을 향해 새해 메시지를 전했다. 현대차그룹은 임직원을 위한 메타버스 현대차그룹 파크(HMG Park)에서 임직원들이 자신 만의 아바타로 만남을 갖고 새해 인사를 나눌 수 있도록 했다.



올해 현대차그룹은 친환경 선두 브랜드로서 위상을 확고히 하겠다는 목표다. 정 회장은 “고객들이 가장 신뢰하고 만족하는 친환경 톱 티어 브랜드가 되기 위한 기반을 확실하게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고객 라이프 스타일에 부합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동화 상품의 핵심인 모터, 배터리, 첨단소재를 비롯한 차세대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연구개발-생산-판매-고객관리의 전 영역에서 전동화 체제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한다. 지난해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가 적용된 아이오닉 5, EV6, GV60을 성공적으로 론칭한 데 이어 올해는 아이오닉 6, GV70 전동화모델, 니로 EV, EV6 고성능 모델을 출시해 선택의 폭을 넓힐 예정이다.

관련기사



소프트웨어 원천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정 회장은 “그룹이 추구하는 미래 최첨단 상품의 경쟁력은 인공지능을 비롯한 소프트웨어 원천기술 확보 여부에 달려있다”면서 “우수인재가 있는 곳에 AI 연구소를 설치해 관련 분야의 역량을 집중 육성하고 개방형 플랫폼을 지속 확대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교류를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성장 분야로 집중 육성 중인 자율주행, 로보틱스, UAM 등 미래사업 영역에서 스마트 솔루션을 구체화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먼저 자율주행 부문 관련 정 회장은 “운전자의 개입을 최소화한 레벨4 기술을 탑재한 다양한 시범 서비스를 선보이고 2023년 양산 예정인 아이오닉 5 기반의 자율주행 차량을 시험 주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로보틱스 분야에 대해서도 연구개발 역량을 지속 강화하고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을 활발하게 진행하겠다는 목표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CES 2022에서 로보틱스 기술과 메타버스의 결합이 가져올 미래 변화상을 소개하고 로보틱스의 역할과 비전을 제시한다. 상용화 계획도 전했다. 정 회장은 “이동의 영역과 가능성을 확장하는 UAM은 2028년 상용화 목표를 차질없이 준비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어 정 회장은 “완성차 이외의 사업부문에서도 역량을 결집하고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사업 포트폴리오와 밸류체인을 재정비하고 스마트 시티, 스마트 물류, 신소재 등과 같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키워 나가가겠다”고 덧붙였다.

품질 관리 및 확보의 중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정 회장은 “미래 가능성을 고객의 일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모든 임직원들의 부단한 노력과 역량이 결집돼야 가능하다”면서 “특히 전 그룹에 걸쳐 가장 기본이 되는 디테일한 품질 관리 및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임직원의 역량이 충분히 발휘되고 소통과 협력을 통해 다양한 가능성이 확장될 수 있는 기업문화를 조성해야 한다”며 “일을 통해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며 경쟁력을 키워내고 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환경과 제도가 마련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