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환경'만 보였던 ESG…올핸 ‘G’가 주가 가른다

韓 불투명 거버넌스가 저평가 불러

유안타證 "주주가치 약탈 비일비재"

6일 이용우 의원 '물적분할' 토론회

대선 주자도 관련 공약 잇따라 내놔

G 따라 기업가치 좌우 원년 될수도





코로나19 이후 국내 기업들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새해에는 지배구조(거버넌스)가 주가의 흐름을 좌우할 요소로 떠올랐다. 지난해부터 잇따른 물적 분할 상장에 소액주주의 불만이 커지면서 대선 주자들이 저마다 관련 공약을 내놓으며 새해 벽두부터 토론회가 개최되고 증권사 리포트 발간도 활발해지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올해가 거버넌스에 따라 기업가치의 가중치가 본격적으로 부여될 수 있는 의미 있는 한 해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았다.



4일 증권가에 따르면 최남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이 불투명한 거버넌스에 있다고 지적하며 주식시장에서 공정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재벌 기업들이 변할 시기가 도래했다는 요지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그는 “약탈적 형태의 합병 등 경영진이 일부 주주에게만 의로운 결정을 내린 일이 지난해 한국에 비일비재했다”며 “최대주주의 과도한 의결권 행사는 한국의 고질적인 문제지만 투자자들이 학습하면서 거버넌스가 훌륭한 기업과 아닌 기업에 대한 호불호가 확실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거버넌스와 관련된 문제의 뿌리에는 ‘승계와 탐욕’이 자리한다면서 관련 제도와 법 마련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거버넌스란 관계자들의 이해를 조정하는 의사 결정 구조로, 한국 재벌 기업은 지배주주가 전권을 쥐고 주주들의 비례적 이익을 보장하지 않아 글로벌 경쟁사 대비 헐값에 거래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관련기사



공정한 거버넌스 구축은 그간 학계, 투자자 집단에서 끊임없이 요구됐지만 최근에는 정치권도 팔을 걷어붙이면서 제도 개선이 가시화하고 있다. 표심 잡기에 나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동학개미의 트라우마가 된 물적 분할 뒤 재상장 문제를 거론하면서 코스피의 질적 도약을 위해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합치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당장 오는 6일에는 이용우 민주당 의원실이 모자 회사 동시 상장과 관련한 소액주주 보호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도 개최하면서 공정한 거버넌스에 대한 요구가 전방위에서 가해지고 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사뭇 달라진 기류다. 지난해부터 부쩍 ESG가 메가 트렌드로 조명받았지만 한국은 유독 세 요소 중 환경(E)에 기업 투자·정책 지원이 쏠리면서 거버넌스(G)의 중요성은 부각되지 못했다. 행동주의 펀드를 운용하는 국내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주식 투자 열풍으로 주주 권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스튜어드십코드가 도입되는 등 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 요구가 확산 중”이라며 “기업들도 자금 조달을 위해 거버넌스를 소홀히 할 수 없는 환경이 됐다”고 말했다.

올해 거버넌스가 적정 기업가치를 도출하는 ‘배수’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대주주의 지배력 강화를 목적으로 설립돼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간의 이해관계 불일치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주사는 거버넌스 우수성에 따라 주가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또한 거래량, 투자자의 관심이 크지 않은 상장 자회사를 상장폐지해 주주 간의 이해 상충 문제를 방지하고 미래 사업에 대한 기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제언도 나온다. 최 연구원은 “일반적 상황에서 상장을 유지할 필요가 없는 재벌 그룹 자회사가 많고 정당한 대가를 지불한다는 전제하에 상폐를 단행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도 있다”며 “LG유플러스는 LG헬로비전을 비상장 자회사로 전환한 뒤 사업 구조를 재편해 미래에 대한 기대치를 높일 수 있고 KT는 KTis·KTcs 등의 자회사를 상폐해 사업 제휴, 매각 등 재무 활동 범위를 넓히는 방안을 고민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