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CJ바이오사이언스 "글로벌 1위 마이크로바이옴 기업으로 도약"

CJ제일제당 레드바이오 자회사 출범

2025년까지 파이프라인 10건 보유

최은석(왼쪽부터) CJ제일제당 대표와 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 황윤일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부문장이 'CJ바이오사이언스 출범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CJ제일제당최은석(왼쪽부터) CJ제일제당 대표와 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 황윤일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부문장이 'CJ바이오사이언스 출범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CJ제일제당




CJ(001040)그룹이 레드바이오(제약·헬스케어) 전문 자회사 CJ바이오사이언스를 공식 출범하면서 그룹의 미래 성장엔진 중 하나인 '웰니스' 분야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 개발을 목표로 세웠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서울 중구 CJ인재원에서 출범식을 열고 공식 출범했다고 5일 밝혔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제일제당(097950)이 지난해 10월 인수한 마이크로바이옴 전문기업 '천랩'과 기존에 보유 중인 레드바이오 자원을 통합해 설립한 자회사다. 대표는 천랩을 창업한 천종식 서울대 교수가 맡았다.

관련기사



CJ바이오사이언스는 오는 2025년까지 파이프라인(신약 후보물질) 10건, 기술수출 2건을 보유해 글로벌 1위 마이크로바이옴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목표 달성을 위해 '3대 혁신성장 전략'도 제시했다. 초격차 연구·개발(R&D) 역량을 확보하고 바이오-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며 신규 사업의 글로벌 확장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천 대표는 "2~3년 내로 면역항암·자가면역 질환 치료용 신약 파이프라인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임상 진입(1상)과 글로벌 제약회사와의 공동연구를 통한 기술 수출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바이오 플랫폼 기술이 의료·헬스케어 분야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쳐 면역 항암제나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과 같은 새로운 글로벌 블록버스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CJ그룹은 CJ바이오사이언스 출범을 계기로 레드바이오 사업을 본격 확대할 계획이다. CJ제일제당이 보유한 최고 수준의 미생물·균주·발효 기술에 마이크로바이옴 정밀 분석·발굴 역량 및 빅데이터를 접목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국내외 시장 전망도 밝다. 마이크로바이옴의 유용성이 소화질환, 비만, 당뇨, 암은 물론 우울증이나 알츠하이머 등의 질환과도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규모는 지난 2019년 약 800억 달러에서 2023년에는 약 1,100억 달러 수준으로 커질 전망이다. 우리 정부도 최근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혁신 전략'을 수립하고 향후 10년 간 1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최은석 CJ제일제당 대표는 출범식에서 "CJ그룹의 중기 비전인 웰니스를 향한 미래 성장엔진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게 됐다"며 "초격차 역량을 확보해 혁신성장의 기반을 조기해 구축해달라"고 강조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