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정부 "직접 일자리 106만개 중 60만개 이달 조기채용"

고용취약계층 어려움 선제 대응

설 명절 16대 성수품 공급 확대

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이 7일 서울 광화문 정부청사에서 열린 ‘제1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코로나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뉴딜 점검 TF 겸 제1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 제공=기획재정부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이 7일 서울 광화문 정부청사에서 열린 ‘제1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코로나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뉴딜 점검 TF 겸 제1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 제공=기획재정부




정부에서 올해 지원 예정인 직접 일자리 106만 개 중 56%인 60만 개를 이달 중 채용하기로 했다. 설을 앞둔 민생 대책이라고 하지만 재정일자리 예산 조기 집행이 너무 몰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의 올해 직접 일자리 목표는 106만 개로 지난해의 104만 개(본예산 기준)보다 소폭 증가했다. 정부는 직접 일자리 조기 채용에 나선 것은 연초 동절기를 맞아 노인·저소득층·장애인·청년 등 고용 취약 계층이 직면한 일자리 어려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목적이라고 밝혔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7일 ‘2022년 제1차 정책점검회의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코로나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뉴딜 점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연초 동절기를 맞아 노인·저소득층·장애인·청년 등 고용 취약 계층이 직면한 일자리 어려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60만 명 이상을 1월 중 조기 채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또한 설 명절 기간 물가 불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음 주부터 16대 성수품의 공급을 평시보다 확대하기 위한 사전 준비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부터 복지부·고용부 등 7개 부처가 87만 명 규모의 직접 일자리 사업에 대해 1차 통합 공고를 실시했다. 이어 다음 주 2차 공고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 차관은 “노인 일자리 사업의 경우 이번 주부터 이미 15만 명이 넘는 인원이 일을 시작했다”며 “자활근로, 장애인일자리사업도 채용을 시작했으며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은 1월 중 지자체별로 모집 공고를 낼 계획”이라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상황에 신속하게 채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비대면 면접을 병행하고 채용된 인력의 투입이 지연되지 않도록 교육도 비대면으로 하는 등 사전 절차를 단축했다”며 “취업 취약 계층의 생계 안정과 민간 일자리로의 이행을 지원해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의 구축을 위해 지난해(3,705억 원) 대비 56% 증가한 5,797억 원을 투입해 올해 추가로 310종을 구축하고 오는 2025년까지 총 1,300여 종으로 AI 학습용 데이터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헬스케어, 교통, 재난·안전, 금융 등 분야별 데이터 구축·개방 로드맵과 이행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