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웁살라시큐리티, '화이트리스트' 출금제한 해결 나선다…웹 3.0 신원 인증 프로젝트 공개

출처=웁살라시큐리티출처=웁살라시큐리티





글로벌 블록체인 보안 업체 웁살라시큐리티가 웹 3.0 고객확인제도(KYC)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최근 코인원 등 암호화폐 거래소에 ‘화이트리스트’ 제도가 도입되면서 KYC를 거치지 않은 지갑으로의 출금이 제한된 문제에 대해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7일 웁살라시큐리티는 웹 3.0 시대 신원 인증 플랫폼을 목표로 하는 ‘컴패스 프로토콜(Compass Protocol)' 프로젝트를 출시했다. 중앙화 거래소 이용자들은 컴패스 프로토콜 플랫폼을 통해 KYC 및 자금세탁방지(AML) 정보를 제공하고 고유 신원 증명 대체불가능한토큰(NFT)를 발급 받을 수 있다. 발급받은 NFT를 보관하고 있으면 다른 거래소나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KYC 정보를 제공할 떄마다 정보 제공에 대한 보상을 받는다.

웁살라시큐리티는 캠퍼스 프로토콜이 점차 개인 지갑에 대한 신원 정보를 획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거래소들을 위한 대응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금법 상 거래소 이용자가 암호화폐를 출금할 경우 신원을 확인해야 하는데, 메타마스크와 마이이더월렛 등 개인 지갑의 경우 KYC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누구나 생성이 가능하다. 이에 코인원 등 특정 거래소들의 경우 실명 계좌를 제공하는 은행과 협의한 화이트리스트 제도가 도입되면서 메타마스크 등 신원 확인을 할 수 없는 지갑에 암호화폐를 출금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웁살라시큐리티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패트릭 김 웁살라시큐리티 대표는 “암호화폐 시장이 제도권으로 편입되며 불법 행위의 근절이 필요한 시점이 점차 다가오고 있다”며 “앞으로 블록체인 산업이 제도권에 무사히 안착할 수 있게 블록체인 서비스 이용자들과 거래소 사이의 간극을 좁혀줄 차세대 웹 3.0 버전의 KYC/AML 솔루션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정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