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난분해성 유기탄소 분해 담수미생물5종 혼합재제 개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

산업폐수 총유기탄소량 평균이하로 낮아져


경북 상주시에 있는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난분해성 유기탄소’를 분해하는 담수 미생물 5종 혼합제제를 개발해 관련 특허를 출원하는 한편,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난분해성 유기탄소란 페놀, 톨루엔 등 화학구조상 탄소원자 화합물을 기본골격으로 갖는 화합물의 통칭으로는 자연 상태에서 분해가 어려워 폐수 정화 비용이 많이 든다.

이에 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17년부터 페놀류 등 난분해성 유기탄소를 저감하는 호기성 미생물 42종을 낙동강 등 국내 담수 환경에서 찾아내고 이 중에서 분해능력이 뛰어난 담수 미생물 5종을 선별해 미생물 혼합제제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미생물 5종 혼합제제 4.8㎏을 40톤의 산업폐수를 정화하는 수질오염방지처리 시설에 투입하고 14일 이후 총유기탄소량(TOC) 저감 효과 확인결과, 최고 80mg/L이던 총유기탄소량이 10일간 평균 20mg/L 이하로 낮아졌다.

관련기사



이는 ‘물환경보전법’ 상의 폐수배출시설의 총유기탄소량(TOC) 배출허용기준인 25~75mg/L 이하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이번 미생물 5종 혼합제제는 페놀류 뿐만 아니라 테르펜알코올류의 불포화탄화수소 등 다양한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미생물 혼합제제 제조와 산업폐수 적용방법에 관한 내용을 지난해 12월에 특허를 출원하고 수처리 등 실제 정화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정상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장은 “확보된 생물자원이 산업체와 수처리 기술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상주=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