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장동 수사팀 출범 100일 넘었지만...'꼬리'만 잡고 '윗선' 손도 못대

김만배·유동규·남욱 등만 기소

'성남시·50억 클럽'은 성과 없어

대선·檢인사 앞둬 수사 부담늘듯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연합뉴스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연합뉴스




대장동 개발·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출범 100일을 넘겼지만 여전히 ‘윗선’의 실체는 오리무중이다.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 등 ‘대장동 5인방’을 재판에 넘기고서도 ‘부실 수사’ ‘뭉개기 수사’라는 비판이 따라붙는 이유다.



일선 지청급 규모의 수사팀이 투입되고 사건 초기 내부자의 조력까지 받았지만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을 정점으로 한 윗선은 물론 민간업자들의 로비 대상으로 거론된 이른바 ‘50억 클럽’ 의혹도 여전히 물음표다. 더욱이 대선과 일선 검사 인사가 가까워질수록 수사 동력은 더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관련기사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김태훈 4차장검사)이 지금까지 기소한 피의자는 김 씨와 유 전 본부장, 남욱 변호사(천화동인 4호 소유주), 정영학 회계사(천화동인 5호 소유주), 정민용 전 공사 전략사업실장 등 5명에 불과하다. 지난해 9월 29일 꾸려진 수사팀에는 검사만 25명이 투입돼 ‘배임과 로비’라는 두 갈래로 수사를 진행했다. 다만 사건 초기 정 회계사가 제출한 녹취록과 진술에만 기댄 탓에 수사는 곧 벽에 부딪혔고 김 씨에 대한 영장기각 등 수사 동력이 급격히 떨어졌다. 대장동 개발의 실무 전반을 꿰고 있는 유한기 전 공사 본부장과 김문기 공사 개발1처장이 잇따라 극단적인 선택을 하면서 실체 규명은 더 멀어졌다.

결국 배임 수사는 ‘꼬리’에서 끊기고 로비 의혹은 제대로 손도 못 대는 형국이다. 검찰은 유 전 본부장이 압수수색 직전 통화한 인물인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비서실 부실장에 대한 소환조사로 반전을 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후보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정 부실장은 앞서 성남시 정책실장 재직 당시 대장동 관련 내부 문건에 결재·서명했다. 더욱이 유한기 전 본부장을 통해 황무성 초대 공사 사장을 사퇴하게 한 의혹(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을 받고 있다. 그러나 사건의 당사자가 숨져 의혹이 제대로 해소될지 미지수다.

곽상도 전 의원에 대한 영장 기각으로 스텝이 꼬인 ‘50억 클럽’ 수사도 아직 기소 및 신병 확보 성과가 전혀 없다. 검찰은 전날 박영수 전 특별검사를 재소환하는 데 이어 이날 권순일 전 대법관의 변호사법 위반 및 공직자윤리법 위반 혐의를 경기남부경찰청에 넘겼다. 권 전 대법관의 뇌물죄 관련 혐의는 계속 수사하고 있다. 그동안 암초에 부딪쳐 더디게 진행돼온 대장동 수사는 이제 단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온 대선에 더 큰 부담을 안게 됐다. 대선 후보가 직접 연관된 탓에 ‘정치 개입’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법조계의 시각이다. 1월 말 검사장급, 2월 평검사 인사도 수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수사팀이 이달 중 서둘러 수사를 마무리할 가능성도 제기되는 이유다.


이진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