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올해‘기후변화 대응 녹색 복지’실현…511억 투자

용읹역의 한 도시숲길 정비사업 모습용읹역의 한 도시숲길 정비사업 모습




경기도가 올 한해 500억원 이상의 예산을 들여‘기후변화 완화 및 도민 삶의 질을 향상하는 공원 조성’을 목표로 공원·녹지·정원 분야 정책 추진에 나선다.



도는 이 같은 비전을 담은 ‘2022년 경기도 공원·녹지 시책’을 수립하고, 도내 시군에 배포해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다고 21일 밝혔다.

도는 올해 도시숲 조성으로 탄소중립 실현, 정원문화 확산으로 도민 삶의 질 향상, 도립공원·지질공원 정비로 지역 활성화 기반 구축 등 3개 정책 방향을 설정, 511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도는 ‘도시숲 조성으로 탄소중립 실현’ 차원에서 총 316억원의 예산을 투입, 미세먼지 차단숲, 도시바람길숲, 가로숲길, 서해안 녹지벨트, 경기아이누리놀이터, 쌈지공원, 자녀안심 그린숲, 생활환경숲 등의 조성을 추진한다.

관련기사



또 ‘정원문화 확산으로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경기도 지방정원 조성, 마을정원 조성, 실·내외 정원 조성, 시민정원사 운영 및 녹색일자리 창출,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개최 등을 추진, 총 81억 원의 예산을 들여 생활 속 정원문화 확산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중 안산시 본오동 소재 폐기물 매립지(안산시화쓰레기매립장)에 조성하는 ‘경기도 지방정원’의 경우, 연내 실시설계를 본격적으로 시작해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정원 가치 공유와 전국 각지 정원박람회의 선도 모델을 마련해온 ‘경기정원문화박람회’는 올해 10회째를 맞아 오는 10월 중 오산시 맑음터공원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도는 ‘도립공원·지질공원 정비로 지역 활성화 기반 구축’ 차원에 연인산·수리산 도립공원과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정비에 114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정비와 관련, 경기도, 강원도, 포천시, 연천군, 철원군 한탄강 일원의 5개 지자체가 공동사업을 추진, 경기북부 등 낙후된 접경지역의 경제·관광 활성화 기반을 구축할 방침이다.

민순기 경기도 공원녹지과장은 “올해 다양한 공원·녹지·정원 조성사업을 통해 기후 위기에 선제 대응하고, 도민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이바지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