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서울시 "재택치료율 90% 이상, 최대 5만 명 관리 목표"

동네 의원급 관리 의료 기관 750곳 이상 확보 계획

26일 서울 강남역 임시선별검사소 방문자들이 검사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26일 서울 강남역 임시선별검사소 방문자들이 검사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대비해 동네 의원을 중심으로 의료기관을 확충해 재택치료율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최대 5만 명을 관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박유미 서울시 방역통제관은 27일 브리핑에서 "오미크론 확산 정점으로 예상되는 2∼3월 서울시 확진자 1만 명 발생에 대비해 재택치료율을 90% 이상으로 상향하고 최대 5만 명까지 관리할 수 있도록 동네 의원급 관리의료기관을 750곳 이상 추가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2월 중순 재택치료자가 최대 5만 명이 될 것으로 보고 병원 입원과 생활치료센터 입소 비율은 7%대로 낮추고 현재 20% 안팎인 재택치료 비율을 93% 수준으로 높인다는 목표다.

시는 우선 이말 달까지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을 현재 75곳에서 117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기존 관리의료기관에는 전담 인력 115명을 충원해 최대 관리가능인원을 1만 8,960명에서 2만 7,860명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시는 또한 오미크론 확산 상황에 따라 유선(전화) 모니터링 횟수를 하루 2∼3회에서 1∼2회로 줄이거나 저위험군은 정기 모니터링 대신 환자의 긴급 전화에 대응하는 시스템(On-Call)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응급상황에 대비해 다음 달부터 재택치료자 중 경증 호흡기 질환자에게는 가정용 산소발생기를 단기로 미리 대여해준다.



또한 재택치료자에게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담당 약국을 현재 47곳에서 다음 달까지 95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시는 다음 달 7∼8일 먹는 치료제 1,780명분을 2차로 공급 받을 예정이다.

관련기사



재택치료자를 위한 외래진료센터는 현재 8곳에서 다음 달 25곳 이상으로 늘린다. 우선 28일 4개 시립병원에 외래진료센터가 추가로 문을 연다. 2월 중에는 외래진료센터 이송 전용 방역택시도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형 의원급 재택치료에는 지난 21일부터 구로구에서 7개 의원급 병원이 참여해 59명의 확진자를 관리하고 있다. 27일에는 동대문구, 다음 달 3일부터는 서초구와 노원구 등이 추가로 참여할 예정이다.

시는 또한 응급 이송체계 강화를 위해 의료진이 탑승해 이송 중 환자를 치료하는 구급차(SMICU')를 2대에서 4대로, 서울소방 전담 구급대를 20대에서 30대로 확충하기로 했다.

시는 아울러 정부의 방역 지침에 따라 코로나 의료대응체계를 지역 병·의원 중심의 일반의료체계로 전환한다. 우선 2월 3일부터 56개 호흡기 전담 클리닉을 중심으로 진료를 시작한다.

역학조사 방식도 바꾼다. 확진자가 직접 관련 내용을 기재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접촉자 조사도 현재 전수 조사에서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 중심으로 변경한다. 시설 내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면 방역관리자가 접촉자 조사, 유증상자 모니터링 등 자체적으로 먼저 조치한 후 필요하면 보건소가 추가 조치를 하는 '자율방역체계'로 전환한다.

박 통제관은 "방식 변경으로 역학조사 시간이 현재 4시간 이상에서 약 1시간으로 단축돼 서울시 역학조사 대응 역량이 4배 정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시는 아울러 중등증환자 입원기관과 생활치료센터 입소 기간을 7일로 단축한다. 효율적인 검사를 위해 29일부터는 보건소 선별진료소와 시 직영 검사소 4곳, 다음 달 3일부터는 임시선별진료소 55곳에서 PCR(유전자증폭) 검사와 자가검사키트를 함께 활용한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