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수주목표 높인 대형업체도 노심초사…공기연장에 신규착공 줄줄이 밀릴판

[중대법發 건설사 자금조달 비상]

■연초부터 더블악재 맞은 건설업계

추가 안전규제 도입 가능성에

공사기간·인건비 증가 불가피

내년 매출·이익률까지 악화 우려





주택 경기 호조 등에 힘입어 올해 사업 목표를 공격적으로 세웠던 건설사들이 연초부터 중대재해법 시행과 광주 아파트 붕괴 사태로 노심초사하고 있다. 중대재해법 자체만으로도 건설 업계에 큰 부담이 되는 사안이었는데 광주 사고가 맞물리면서 당초 예상했던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안전 관리가 필요해지고 관련 비용도 증가하는 등 리스크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게 됐기 때문이다.

4일 건설 업계에 따르면 각 건설사들은 올해 영업 목표를 수립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대재해법과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건에 따른 경영 환경 변화가 실적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당초 대형 건설 업체들은 지난해 국내 주택 사업 부문의 호조에 힘입어 올해 공격적인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7380억 원이라는 사상 최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대우건설의 경우 올해 매출 목표를 15.1% 성장한 10조 원으로 잡았다. DL이앤씨는 지난해 대비 29% 높은 수주 목표를 세웠다. 중대재해법의 경우 시행이 예고됐던 만큼 이에 따른 안전 관리비 증가분은 이미 올해 사업 계획에 반영된 상태였다. 하지만 광주 붕괴 사건이 돌발 변수로 작용하면서 중대재해법을 포함한 기존 안전 관련 법안의 적용 강도가 달라지게 됐고, 건설안전특별법 등 추가 안전 규제의 도입 가능성도 높아졌다.

관련기사



업계에서는 당장 공사비 증가와 공사 기간 지연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우선 국토교통부가 광주 사고 이후 공사 규모 5억 원 이상의 모든 건설 현장을 대상으로 안전 실태 조사를 진행하면서 1분기 공사 진행 속도가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여기에 건설안전특별법까지 시행되면 현장에서는 △적정한 공사 기간 확보 △안전 요원 추가 배치 △단계별 안전 관리 강화 등의 조치가 의무화된다. 공사 기간이나 인건비의 추가 증가가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업계에서는 재건축 조합 등 민간 발주처에서 안전 관리 강화에 따른 비용과 공기 연장을 쉽사리 인정해줄지를 특히 우려하고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안전 관리 강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수익성이 중요한 발주처의 인식이 일치하기까지 시차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현재 공사 중인 현장은 모두 공기·공사비 조율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건설사들의 실적 목표 달성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승준 현대차증권 애널리스트는 “공사 기간 증가에 따라 현장 인력 로테이션이 지연되면서 신규 착공도 늦춰질 수 있다”며 “올해뿐 아니라 내년·내후년 연간 주택 매출액과 이익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중대재해법에 따른 리스크는 큰 반면 실제 비용이나 공사 기간의 증가분은 제도 시행 후 수주부터 준공까지 한 사이클이 돌아야 정확히 알 수 있는 부분”이라며 “여기에 타사의 영업 전략 변화까지 예의 주시해야 해 불확실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