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한복공정' 국민분노에도…"항의 필요없다"는 장관

황희 문체부 장관 "중국과 관계에 오해 생길 수도"

외교적 공식 항의는 "현재 생각 안하고 있다"

베이징올림픽 개막식 '소수민족' 한복 착용 논란

'문화공정'이라며 정치권·여론 한목소리 비판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고 참석했다.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고 참석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4일 2022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행사에서 중국이 한복을 자국 소수민족 의상으로 보이게끔 공연한 것에 대해 “중국 측에서는 조선족이 소수 민족 중 하나라고 한 건데, 양국 관계에 오해 소지가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황희 장관은 5일 중국 베이징 시내 메인 미디어센터를 방문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소수 민족'이라는 표현은 그 민족이 하나의 국가로 성장하지 못한 경우를 주로 말한다”면서 “한국은 (중국) 바로 옆에 세계 10위권 큰 나라로 존재하고 있는데 양국 간 좋은 관계에 오해의 소지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황 장관은 "이날 오전 중국 신화통신과 인터뷰에서도 ‘한국 문화가 전 세계로 퍼지는 상황에서 한 나라로 성장하지 못한 민족을 주로 가리키는 소수 민족으로 조선족을 과감하게 표현한 것은 양국 간 오해 소지가 있고, 안타깝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중국 내 56개 소수민족 대표 중 하나로 참여해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들고 있다. /연합뉴스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중국 내 56개 소수민족 대표 중 하나로 참여해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들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중국 내 56개 소수민족 대표 등이 참여한 퍼포먼스에 한복을 입은 여성이 등장해 전세계 생중계 되는 카메라에 포착됐다. 이를 두고 국내 여론은 ‘중국이 한복을 자기네 것이라고 우기는 처사’라며 비난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한국 문화를 알리는 활동으로 유명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를 중국의 역사 왜곡인 ‘동북 공정’에 빗대 ‘한복 공정’이라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정치권에서도 여야가 한 목소리로 이를 ‘문화 침탈’로 표현하며 유감을 나타냈다. 특히 국민의힘 측은 주무 부처인 문체부 장관이 한복 차림으로 현장 참관을 하고도 이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을 거론하며 맹비난로 하며 정부의 강경한 대응을 촉구했다.

외교적 항의계획을 묻는 기자들의 질의에 황 장관은 “(공식적인 항의 등)그럴 필요까지는 현재 생각 안 하고 있다”면서 “다만 양국에 오해 소지가 있는 부분은 중국 체육 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서 국내 여론 등을 언급할 필요는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덧붙여 황 장관은 “역지사지로 보자면 우리나라에도 화교분들이 살고, 미국도 여러 민족이 모여 세운 나라”라며 “그 안에서 이것은 한국 문화, 또 저것은 어디 문화라고 얘기해주는 것이 문화 다양성 측면에서 더 좋지 않겠느냐”고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개회식 감상평으로 “방역도 상당히 잘 관리하고 있고 개회식 내용도 콤팩트하며 깔끔한, 수준 있는 프로그램이었다”면서 “(한복 논란)그게 딱 흠이었다”고 답했다. 지난 3일 중국을 방문한 황 장관은 5·6일 양일간 중국 체육·문화계 인사들을 만나 한한령(한류 제한령)과 관련한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오는 7일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을 면담한 후 9일 귀국한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조상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