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기자의 눈] 모두가 부러워 하는 연봉 뒤에는

◆산업부 이수민 기자





“기본급에 성과급 등을 합친 연봉이 세전 기준으로 3억 원이 넘습니다.”



최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올라온 이 글은 조회 수가 폭발적이었다. 다른 인터넷 커뮤니티에 화면을 갈무리한 내용이 돌아다닐 정도였다. 글쓴이는 자신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메모리 반도체 파트에서 일하는 차·부장급(옛 CL4)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역대급 실적을 이끌어낸 사업 부문에 속한 이였다.

관련기사



여기에 댓글을 달거나 이 내용을 접한 많은 이들은 한결같이 “부럽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차·부장급이 정말 타 대기업의 임원급 연봉을 받는 것이 맞느냐’는 토론까지 벌어질 정도였다. 하지만 누구도 고연봉의 기반이 된 반도체 엔지니어라는 ‘일’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최고 직장이라 불리는 삼성전자 DS 부문조차 한 해에 필요한 인력을 다 채우지 못해 가까운 미래에는 해외에서 인력을 구해 와야 한다는 사실도 그들은 잘 몰랐을 것이다.

반도체 업계를 2년 가까이 취재하며 지겹게 들은 단어는 ‘인력 부족’이다. 전공자 배출 규모가 턱없이 모자라고 이것이 누적된 결과라고 했다. 한 해에만 1476명(2019년 기준)이 부족하다는 정부 발표도 있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필요한 정부 지원을 물어보니 ‘인재 수급’을 최우선으로 꼽은 기업이 65%에 달했다. 이 분야 1위로 꼽히는 삼성전자도 쩔쩔매는 인력 문제니 대우가 상대적으로 박한 중소기업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런 상황에서도 정부는 반도체 학부를 신설해 달라는 업계의 요청을 미루고 있다. 수도권 대학의 정원을 변경하려면 수도권정비계획법부터 뜯어고쳐야 하지만 현재도 아닌 ‘미래의’ 반도체를 위해 총대를 멜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또 이 문제를 풀 주체가 교육부와 산업부로 나뉘어 있는 것도 걸림돌이다. 국민들이 ‘역대급 실적’이라며 삼성전자에 박수를 보내고 고연봉자를 부러워하는 사이 기술 인재를 양성해야 할 시간은 속절없이 흘러간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