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작년 서울 주택 27% 외지인이 샀다…비중 '역대 최고'

강서·도봉·양천順 비율 높아

'똘똘한 한 채 사겠다' 인식 확산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도 반영

지난해 서울에 살지 않는 타 지역 거주자들이 서울 주택을 사들인 비중이 통계 작성 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 업체 경제만랩이 9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주택 매매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 주택 매매 12만 6834건 중 서울 외 거주자의 매매 거래가 3만 4373건에 달했다. 비중으로 보면 27.1%로 2006년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후 가장 높다.






서울에서 외지인 주택 매입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강서구였다. 지난해 강서구 거래량 9583건 중 3214건(33.5%)을 외지인이 거래해 3건 중 1건꼴로 나타났다. 이어 도봉구 32.8%, 양천구 32.4%, 구로구 32.1%, 용산구 31.8%, 관악구 31.0% 순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비서울 거주자의 서울 주택 매입 비중이 증가하는 것은 서울 주택을 ‘안전·고수익 자산’으로 보는 시각이 확산한 결과로 풀이된다. 고질적 문제가 된 서울 주택 공급 부족 문제와 더불어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후 서울 재건축 시장의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서울 주택 시장에 대한 투자 기대감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서울 주택 평균 매매 가격은 1억 원 이상 상승했다.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을 보면 지난해 1월 서울 주택 평균 매매 가격은 7억 9741만 원이었는데 올해 1월에는 1억 1238만 원 오른 9억 979만 원으로 나타났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똘똘한 한 채를 사겠다는 인식이 자리 잡으면서 지방에서는 서울로, 서울에서는 강남으로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며 “최근 집값이 꺾이고 있는 분위기지만 외지인들의 서울 주택 매입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