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내 옆에 확진자가? "접촉 순간 포착해 휴대폰으로 알려준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연합뉴스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종 변이 오미크론이 우세종으로 유행을 주도하면서 신규 확진자가 폭증하고 있는 가운데 확진자와의 접촉을 99.8% 포착해 이를 10분만에 휴대폰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지금 상황에서는 확진자가 발생하면 모임 등 참석자 전원이 검사 대상자가 되지만, 이 시스템 적용시 검사 대상자가 최소 10%로 줄어 실제 접촉한 사람만 검사하면 된다.



YTN은 최근 국내 연구진이 휴대전화 전파 신호를 이용해 코로나19 밀접접촉자를 10분만에 찾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위치 정보가 아닌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파 신호를 분석해 실내에서 확진자 접촉 여부를 찾아내는 방식으로, 정확도는 99.8%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 내용을 보면 연구진은 지문처럼 공간에 따라 전파 신호가 다르다는 점에 주목했다. 확진자와 같은 전파 지문을 가진 밀접 접촉자만을 구별하는 방식으로 확진자와 가까이 있었어도 둘 사이에 벽이 있다면 전파 특성이 달라져 밀접접촉자가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에서 전파 신호를 만들어 내는 비컨은 값이 저렴하고 콘센트에 꽂기만 하면 작동돼 설치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 이택진 KIST 센서시스템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YTN에 "확진자의 신호 세기와 그 다음에 접촉자의 신호 세기를 비교함으로써 이 사람이 확진자와 같이 있었는지 또는 따로 있었는지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스템이 보급되면 백화점과 같은 다중이용시설과 스포츠 경기, 지역축제 등 QR코드만으로는 밀접 접촉자를 가려내기 어려운 곳에서 개인정보 유출 우려 없이 효과적인 방역 관리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