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대서울병원, 전립선 정밀진단 치료 클리닉 신설…비뇨기질환 전문성 강화

국내 비뇨의학과 최초 3D 영상진단 진단 ‘아르테미스’ 도입

이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는 지난해 국내 비뇨의학과 중 최초로 경직장 전립선 초음파와 전립선 자기공명영상(MRI)을 융합해 3차원 이미지로 전립선암을 진단하는 ‘아르테미스’를 도입했다. 사진 제공=이대서울병원이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는 지난해 국내 비뇨의학과 중 최초로 경직장 전립선 초음파와 전립선 자기공명영상(MRI)을 융합해 3차원 이미지로 전립선암을 진단하는 ‘아르테미스’를 도입했다. 사진 제공=이대서울병원




이대서울병원은 전립선암 등 전립선질환 진단과 수술 등 비뇨기 분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립선 정밀진단 치료 클리닉’을 신설하고 ‘로봇비뇨의학클리닉’을 확대했다고 11일 밝혔다.



전립선암은 남성 암 발생 4위로 50세 이상에서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다. 전립선암은 초기에는 5년 생존률이 100%에 육박할 만큼 예후가 좋은 편이지만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뼈와 다른 장기로 전이되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관련기사



이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는 지난해 국내 비뇨의학과 중 최초로 경직장 전립선 초음파와 전립선 자기공명영상(MRI)을 융합해 3차원 이미지로 전립선암을 진단하는 ‘아르테미스’를 도입했다. 아르테미스는 기존 조직검사와 달리 MRI 및 초음파에서 얻은 3차원의 영상을 융합해 실시간으로 초음파에 표적을 표시한다. 또한 조직검사 위치와 깊이를 정확하게 결정해 전립선 조직을 채취할 수 있고 조직검사 중 환자가 움직여도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해 정확한 조직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췄다.

김광현 이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아르테미스 도입 후 전립선암 진단 정확도 및 예후가 괄목할 만큼 좋아졌다”며 “꼭 필요하지 않은 고통스러운 전립선 조직검사는 피하고 조직검사를 해야 한다면 놓치는 암 없이 최상의 진단 정확도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환자들은 로봇비뇨의학클리닉과 연계해 맞춤형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대서울병원 로봇비뇨의학클리닉은 아시아 최초로 단일공로봇을 활용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중이다. 국내 최초로 6세대 단일의 로봇수술기 다빈치 SP(single port)를 도입해 아시아 최초로 비뇨의학과 로봇수술 100례 달성 등의 기록을 세우며 국내에서 가장 풍부한 단일공 비뇨의학과 수술 사례를 축적하고 있다.

윤하나 비뇨의학과 교수는 “최초의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고 국내 비뇨의학과 중 최고의 장비와 인적 투자를 진행했다"며 "비뇨의학을 선도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전립선암 진단 및 치료, 수술의 큰 획을 그을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