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철군 발표에도 서방 "못믿어"…위성사진엔 여전히 '침공 대형'

[글로벌 What] 우크라이나 사태, 한고비 넘겼지만…

러 "유럽서 전쟁 원하지 않아"

병력 철수 동영상 등 인증샷

서방 "긴장완화 신호는 없다"

기습작전 위한 기만전술 의심

'침공 대형' 유지 위성사진에

20일까진 '낙관 어렵다' 전망

러시아 해군 경비정 드미트리로가체프375호가 16일 터키 이스탄불의 보스포루스 대교 아래를 지나고 있다. 이날 러시아 군함들은 흑해에서 훈련하기 위해 포스포루스 해협을 대거 통과했다. EPA연합뉴스러시아 해군 경비정 드미트리로가체프375호가 16일 터키 이스탄불의 보스포루스 대교 아래를 지나고 있다. 이날 러시아 군함들은 흑해에서 훈련하기 위해 포스포루스 해협을 대거 통과했다. EPA연합뉴스




미국이 지목한 ‘침공 예상일(16일)’을 하루 앞두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접경지의 병력을 일부 철수시켰다고 발표하며 전쟁 직전까지 치달았던 우크라이나 사태가 숨 고르기에 돌입했다.



하지만 러시아가 벨라루스에 야전병원을 세우고 우크라이나 정부 인터넷 사이트를 사이버 공격한 것으로 추정되는 등 상반된 모습이 포착돼 경계를 풀기는 이르다는 신중론이 지배적이다. 전면전보다는 급습 형태의 침공을 선호하는 러시아 특유의 기만 전술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15일(현지 시간) 러시아 국영 타스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이날 우크라이나 접경 지대에 배치했던 부대의 일부가 본진으로 복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국방부 측은 이날 낸 성명에서 임무를 완수한 남부군관구와 서부군관구 소속 부대들이 훈련을 마치고 열차와 차량을 장비에 싣기 시작했다며 원래 주둔했던 부대로 복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돌아가는 전차의 동영상 등 ‘인증샷’을 배포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이날 올라프 슐츠 독일 총리와 회담한 후 기자회견에서 일부 병력 철수를 확인하며 “우리는 유럽에서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 안전 보장 문제의 외교적 해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러시아의 이 같은 태도 변화에도 서방 진영은 의구심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러시아의 철군 발표를 아직 확신하지 못하겠다”며 “우리가 파악한 정보에 따르면 (상황은) 고무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러시아가 벨라루스에 야전병원을 건설하고 있다면서 “이는 침공 준비라고 해석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날의 철군 발표 자체가 기습 공격을 위한 일종의 ‘기만 전술’일 수 있다는 의미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 역시 조심스럽게 낙관할 근거는 일부 있지만 “현장에서 아직 긴장 완화의 신호는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우크라이나 국방부와 군 웹사이트는 사이버 공격을 받기도 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앞서 러시아가 재래식 군사 공격에 앞서 사이버 공격을 단행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최대 상업은행인 프리바트방크와 대형 국영은행인 오샤드방크 홈페이지 역시 집중적인 공격으로 업무에 차질이 생겼다. 우크라이나 사이버보안센터는 “러시아가 공격의 배후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러시아 부대의 철군에 큰 의미를 두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이번에 복귀한 군대는 우크라이나와 가까운 러시아 서부·남부 지역 군대로 언제든 쉽게 국경 지대에 재투입될 수 있다”며 “병력을 빼면서도 무기는 그대로 배치해 상황에 따라 신속히 국경 지대에서 재무장할 수 있다”고 전했다. 미 언론들이 분석한 위성사진에서도 러시아의 최정예 부대인 중부·동부 군사 지역 부대는 우크라이나 접경지에 침공 대형을 유지한 채 그대로 배치돼 있다.

이에 따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북쪽에서 벨라루스와 진행 중인 연합훈련이 끝나는 오는 20일까지 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러시아가 언제든 연합훈련을 기습 침공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대국민 연설에서 “러시아군 15만 병력이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국경 인근에서 우크라이나를 포위하고 있다”며 “침공은 명백히 가능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