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인건비가 쏘아올린 K게임 '어닝쇼크'…개미만 피눈물

8곳 인재확보에 비용 6724억 ↑

수익악화·주가하락 '부메랑'

'임금인상 요구' 타업계로 확산





정보기술(IT) 개발 인력 확보 전쟁을 벌이며 앞다퉈 연봉과 성과급 등을 인상했던 게임 업계의 지난해 인건비 지출이 크게 늘어 결국 수익성이 악화됐다. 인건비가 쏘아 올린 ‘어닝쇼크’는 기업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주가가 폭락했다. 특히 게임 업계에서 촉발된 임금 인상 요구가 최근 인플레이션을 타고 다른 업계로도 확산돼 올해 기업들의 임금협상에 비상이 걸렸다.



17일 서울경제가 전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 1조 원 이상의 국내 게임사 8곳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이 지출한 총인건비는 3조 131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724억 원(27%)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8개사의 영업이익은 2조 6564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급감했다. 이들의 지난해 영업이익 증가율이 전년 대비 20%였던 점을 감안하면 인건비 상승분이 고스란히 비용에 반영된 것이다. 특히 지난해 인건비 증가율은 27%로 영업비용 증가율 20%를 뛰어넘을 정도로 가팔랐다.

관련기사



영업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업종인 게임업의 특성이 무력해질 정도로 영업이익 감소 폭이 컸다. 실제로 카카오게임즈(293490)위메이드(112040)를 제외한 모든 게임사들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7~73% 감소했다. 8개사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8850억 원(8%) 늘어난 12조 1400억 원에 그쳤고 상승분의 대부분이 카카오게임즈(5836억)와 위메이드(4344억 원)로부터 나왔다. 넥슨·엔씨소프트(036570)·펄어비스(263750)는 매출마저 뒷걸음질쳤다. 인건비 상승으로 고정비가 급증하는데 매출 성장은 부진하자 엔씨소프트·크래프톤(259960) 등의 주가는 고점 대비 반토막이 났다.

임금 인상 요구는 게임 업계를 벗어나 전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노총은 “최근 10년 만에 물가 상승률이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며 올해 임금 인상 요구율을 8.5%로 제시했다. 한국노총이 8%대 임금 인상률을 내놓은 것은 지난 2018년 이후 4년 만이다. 또 삼성전자(005930) 노조는 연봉 1000만 원 일괄 인상, 매년 영업이익의 25% 성과급 지급, 포괄임금제 폐지 등을 사측에 요구하며 협상을 벌이고 있다.

정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