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김정태 "기후문제 해결의 게임체인저 될 것”…하나금융, 카이스트에 탄소중립 투자금 지원

하나금융-카이스트, ESG 미래전략업무 MOU

인공광합성 연구소 공동 설립 등 필요한 200억원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지난 23일 카이스트(KAIST)와 체결한 ‘2050 탄소중립을 위한 ESG 미래전략 업무 협약식’에서 김정태(왼쪽 다섯번째) 하나금융회장과 이광형(// 여섯번째) KAIST 총장 등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하나금융하나금융그룹이 지난 23일 카이스트(KAIST)와 체결한 ‘2050 탄소중립을 위한 ESG 미래전략 업무 협약식’에서 김정태(왼쪽 다섯번째) 하나금융회장과 이광형(// 여섯번째) KAIST 총장 등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하나금융




하나금융그룹은 카이스트(KAIST)와 2050 탄소중립을 위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미래전략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양 기관은 △기후변화 문제 해결과 △저탄소 에너지경제로의 전환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목표로 탄소중립 달성에 힘을 모을 예정이다.



우선 양 기관은 ESG 신기술 개발에 협력한다. 궁극적인 탄소중립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탄소를 포집·활용·저장하는 CCUS 기술인 인공광합성 분야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 인공광합성 기술은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모방, 태양에너지를 활용해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유용물질로 업사이클링 하는 기술이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하나금융은 기초과학·융합기술 등 다양한 학술 활동 등을 위해 1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인공광합성 연구소 공동 설립에 필요한 투자금 100억원도 지원한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금융과 연구기관 간 협업으로 향후 금융권의 탄소중립 ESG 경영활동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최근 탄소중립이 국제사회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탄소를 활용할 수 있는 미래 기술 상용화가 시급한 상황”이라면서 “이번 하나금융과 카이스트의 업무협약은 탄소중립을 위한 미래기술 상용화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ESG 경영에 대한 하나금융의 실천 의지와 미래 사회를 바라보는 카이스트의 비전과 기술이 만나 기후 위기와 탄소중립이라는 인류의 난제를 성공적으로 풀어나갈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번 협력을 통해 유망산업을 육성하고 저탄소산업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하는 모범적 선례를 남길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하나금융은 향후 30년 동안 모든 그룹의 관계사가 참여해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제로(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목표를 세웠다. 하나금융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그룹의 ESG 중장기 비전을 세우고 사회 가치 창출을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할 예정이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