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에너지연, 수소도 전기도 만드는 양방향 스택 핵심 부품 개발

양방향 고온수전해-연료전지 평관형 셀 핵심 부품 기술, 에이프로에 기술이전

순수 국산기술로 100㎠ 활성면적의 대면적 평관형 고체산화물 셀 핵심 부품 개발 성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종남(오른쪽 첫번째) 원장과 에이프로 임종현(″세번째) 대표, 에너지연 고온에너지전환연구실 서두원(″두번째) 책임기술원이 기술이전 체결식을 갖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종남(오른쪽 첫번째) 원장과 에이프로 임종현(″세번째) 대표, 에너지연 고온에너지전환연구실 서두원(″두번째) 책임기술원이 기술이전 체결식을 갖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물에서 수소를, 그리고 필요시 다시 전기로 변환하는 미래형 에너지저장 기술인 양방향 고온수전해-연료전지 기술의 핵심 부품 ‘평관형 셀’ 제조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고온에너지전환연구실 서두원 책임기술원 연구진이 국내 최초로 100㎠ 활성면적의 대면적 평관형 고체산화물 셀 핵심 부품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평관형 셀은 기존 평판형, 원통형 셀 각각의 장점인 고효율·고안정성을 담보하면서도 부피당 높은 출력밀도를 보였다.



연구진이 개발한 평관형 셀은 압출공정으로 제작돼 크기, 두께, 길이 등을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여기에 연구원 고유의 디자인인 납작한 튜브형상을 적용해 양 끝단을 밀폐시킨 후 수증기 이동을 위한 채널은 평관형 셀의 위·아래면에 형성함으로써 고집적 적층과 가스밀폐가 매우 용이한 구조로 제작됐다.

관련기사



특히 이와 같은 구조는 수증기와 산소의 접촉을 막아주는 밀봉부위를 줄일 수 있고, 셀을 가두는 금속 부품이 필요치 않다. 이에 소모되는 금속 부품은 1/2, 밀봉재는 1/10로 획기적으로 낮춰 스택 제조의 신뢰성과 경제성이 매우 뛰어난 기술이다. 또한 수직 적층으로 높은 스택 집적도 달성이 가능하며 평관형 셀의 지지체 구조의 특성으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해 특히 수전해 장기 안정성이 뛰어나다.연구진은 개발한 10개의 셀을 적층해 750℃ 작동온도에서 215W 출력 및 시간당 160L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고효율 셀-스택 기술을 실증 구현했다. 해당 셀은 약 50%의 발전효율과 100%의 수전해 스택 효율을 보였고 특히 타 알칼라인 또는 고분자전해질 방식의 저온수전해 방식에 비해 약 20% 이상 높은 효율이 입증됐다.

에너지연은 ‘양방형 고온수전해-연료전지 셀 기술에 관한 특허 및 노하우’기술을 에이프로에 이전하기로 하고 지난 15일 기술이전 체결식을 가졌다.

에너지연 김종남 원장은 “개발한 평관형 셀은 고효율 고온수전해, 수소연료전지 스택의 핵심 소재·부품이며 해외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국내 자체 기술을 확보해 내부 역량을 키웠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현재 국내에 선점하고 있는 해외 기술을 대체해 탄소 중립과 국가 에너지 자립을 위한 경쟁력 확보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에이프로 임종현 대표는 “수소에너지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순수 국내 기술력을 통해 개발된 제조기술을 확보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의미”라며 “에너지연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그린수소에너지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고 해외 수소 활용사업에도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