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미안합니다. 어른으로서"…괴물 소년범 만드는 어른들의 책임을 묻다

■리뷰-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소년심판'

'소년범 혐오한다'는 소년부 판사 중심으로

촉법소년, 가출팸, 가정폭력, 집단성폭행 등

무거운 사건을 자극적이지 않게 소화해내

'OTT 첫 도전' 김혜수의 압도적 존재감 돋보여

넷플릭스 ‘소년심판’의 판사로 나오는 김혜수(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김무열, 이정은, 이성민. 사진 제공=넷플릭스넷플릭스 ‘소년심판’의 판사로 나오는 김혜수(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김무열, 이정은, 이성민. 사진 제공=넷플릭스




“보여줘야죠, 법이란 게 얼마나 무서운지. 가르쳐야죠, 사람을 해하면 어떤 대가가 따르는지”



지난 25일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소년심판’에서 소년범죄를 다루는 소년부의 판사 심은석(김혜수)은 부장판사 강원중(이성민)에게 이렇게 일갈한다. 가해자 측이 소년범이라는 이유로 상대적으로 가벼운 처벌이 기다린다는 점을 악용하려는데 대한 반발이다. 반면 법정에서는 선고를 내리며 “소년은 결코 혼자 자라지 않습니다. 오늘 처분은 소년에게 내렸지만 그 처분의 무게는 보호자들도 함께 느끼셔야 할 겁니다”라고 말한다. ‘소년심판’은 두 대사에서 볼 수 있는 소년범죄를 향한 양면적 모습을 정면으로 응시한다.

넷플릭스 ‘소년심판’ 스틸컷. 극중 소년범죄 사건들은 한 쪽으로 섣불리 판단할 수 없는 양가적 성격으로 그려진다. 사진 제공=넷플릭스넷플릭스 ‘소년심판’ 스틸컷. 극중 소년범죄 사건들은 한 쪽으로 섣불리 판단할 수 없는 양가적 성격으로 그려진다. 사진 제공=넷플릭스


‘소년심판’은 평소 소년범을 혐오한다고 서슴없이 말하는 심은석이 연화지방법원 소년형사합의부의 우배석 판사로 부임하면서 시작된다. 파트너이자 후배인 좌배석 판사 차태주(김무열)는 아이들에게 기회를 주면 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믿는 인물이다. 이야기는 두 판사와 부장판사인 강원중, 나근희(이정은)가 맞닥뜨리는 사건이 뼈대다. 사건은 살인, 가정폭력으로 인한 탈선, 성매매, 입시비리, 학교폭력, 집단 성폭력·협박 등 다양하다. 처음 나오는 사건은 2017년 인천 초등생 유괴살인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등 극 중 사건은 모두 실화에서 모티브를 따 만들어졌다.

넷플릭스 ‘소년심판’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넷플릭스 ‘소년심판’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



‘소년심판’은 소년범죄 이야기지만, 이를 둘러싼 어른들의 모습들에 상당한 포커스를 맞춘다. 사건 자체의 선정성·자극성에 주목하기보다 소년범죄가 왜 벌어지는지, 사회는 이 아이들을 보호할 울타리를 제대로 갖췄는지를 주목한다. 하지만 이들이 소년범이니 교화를 위해 온정적이어야 한다는 주장도 배격함으로써 균형을 잡는다. 각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사건들에서 어른들은 자기 자식이 어떤 잘못을 저질렀는지 관심이 없으며 그저 아이들의 형량을 낮추는 데만 몰입한다. 아이들은 그런 어른들의 영향으로 망가져 있었다. 아버지의 학대를 못 이기고 가출한 학생은 비슷한 아이들끼리 모인 이른바 ‘가출팸’에 들어가고, 어떤 부모는 자식이 살인을 저질렀지만 재판 내내 한 번도 참석하지 않는다. 소년들은 어른들의 그런 모습을 보고 자라서는 더 악랄한 괴물이 되어 법정에 서기도 한다.

관련기사



‘소년심판’은 이처럼 개별 사건이 주는 무게감에도 불구하고 사건, 인물에 밀착해서 과한 감정이입을 유도하는 ‘한국형 신파’의 요소가 없다는 점이 미덕이다. 극 전개의 편의를 위해 답답한 캐릭터와 구성을 넣는 이른바 ‘고구마 전개’도 없다. 그렇다고 모든 사건이 가해자를 응징하는 처분이 내려지는 ‘사이다 전개’는 아니라는 점에서 지극히 현실적이다. 판사들은 물론 범죄자들까지 플롯의 목적을 위해 기능적으로 쓰이고 버려지는 캐릭터도 거의 없다.

넷플릭스 ‘소년심판’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넷플릭스 ‘소년심판’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


거의 모든 배우들이 호연을 펼치기에 가능했던 결과다. 김혜수는 카메라에 모습을 비출 때마다 압도적 카리스마로 존재감을 떨친다. 그는 마음 속 강한 분노를 눌러 담은 냉정한 캐릭터를 특유의 과장된 화법으로 표현하는데, 극의 분위기와 맞아떨어진다. 김무열 역시 아이들의 시선에서 사건을 바라보려 노력하는 선량하고 따뜻한 성격을 잘 드러낸다. 이성민과 이정은도 극중 재판 관련 문제로 부딪히는 장면마다 팽팽한 긴장감을 자아내며, 진정한 어른의 모습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연기로 보여준다.

‘소년심판’은 아이들이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는 가차 없는 처벌을 부르짖는 동시에 그들이 죄를 짓게 한 사회, 이런 시스템을 만든 어른들의 책임이 더 크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김민석 작가와 홍종찬 감독은 이에 대한 대답을 마지막에 나근희의 입을 빌어서 한다.

“미안합니다, 어른으로서.”

넷플릭스 ‘소년심판’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넷플릭스 ‘소년심판’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