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통신사들이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 2022’를 찾아 유무선 통신을 넘어선 미래 신기술을 세계시장에 선보인다. 지난 2019년 마지막 전시에서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력을 내세웠다면 올해 전시에서는 3년간 5G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발달한 인공지능(AI)·메타버스·도심항공모빌리티(UAM)·로봇 등 신기술로 앞선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력을 세계에 뽐낼 계획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통신 3사는 28일(현지 시간)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2에서 탈통신 신기술을 중심으로 부스를 꾸몄다. 지난해 투자회사 SK스퀘어와 분사하고 ‘AI·서비스 회사’로 탈바꿈한 SK텔레콤(017670)은 메타버스·AI·5G·특별관 등 4개의 테마로 전시관을 구성했다. SK텔레콤은 삼성전자(005930)·MS·인텔·도이치텔레콤·퀄컴·노키아 등 글로벌 ICT 기업과 협업에도 나선다.
SK텔레콤은 ‘메타버스’에 방점을 찍었다. 메타버스는 5G를 활용한 대표적인 서비스다. SK텔레콤은 MWC 2022에서 자사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 글로벌 버전과 증강현실(VR) 버전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전시관도 입장부터 퇴장까지 모든 과정에서 가상세계와의 융합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중앙 발광다이오드(LED) 전광판에서 이프랜드 아바타가 관람객을 맞이하고 메타버스존에서는 K팝 콘서트 등을 즐길 수 있다.
AI 기술도 뽐낸다.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AI 반도체 사피온도 MWC 2022를 통해 유럽에 첫선을 보인다. 아마존 알렉사와 제휴해 세계 최초로 영어·한국어 동시 사용이 가능한 AI 스피커 ‘누구 멀티 에이전트’도 대표적인 AI 전시물이다. 5G와 연계한 양자 암호 생성기, 퀀텀폰 등 양자 암호 기술도 선보인다. 미래 중점 사업으로 육성 중인 UAM도 빠질 수 없다.
KT(030200)는 ‘디지털 혁신의 엔진, 디지코 KT’를 주제로 디지털전환(DX) 기술과 노하우를 선보인다. AI, 로봇, KT그룹&파트너 3개로 구성된 KT 전시관에는 버라이즌·엑센추어 등 글로벌 기업들도 참여한다.
KT는 AI에 힘을 줬다. 국내 최대 음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발화자 의도를 분석하는 AI콘택트센터(AICC)를 소개한다. 기업용 AI 고객센터와 소상공인을 위한 AI 통화 비서를 선보일 계획이다. AI로 교통 인프라를 관제하는 ‘트래픽 디지털 트윈’도 준비했다. CCTV만으로 교통 상황과 보행자 등을 감지해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교통 흐름을 개선해주는 솔루션이다. AI로 5G 품질을 올려주는 ‘닥터 와이즈’와 ‘AI NQI’ 기술도 공개한다. AI와 결합한 K팝 서비스도 있다. 영상을 따라 춤을 추면 AI가 얼마나 잘 따라했는지 평가해주는 것은 물론 칼로리 소모량까지 알려준다. AI와 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해 자동주행과 원격 관제가 가능한 ‘AIoT 전동 휠체어’도 준비했다.
로봇존에서는 코로나19 시대에 맞춰 ‘AI 방역 로봇’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공기 정화와 살균을 24시간 진행하는 자율주행로봇이다. 6㎓ 로봇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기가와이파이 홈 6E’와 로봇과 서버 간 끊김 없는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기가 아토(Atto)’도 체험할 수 있다. 메타버스도 빼놓을 수 없다. 메타버스 전시관 ‘DIGICO 랜드’를 통해 MWC 2022에 구현한 KT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LG유플러스(032640)는 소비자 대상(B2C) 부스를 열지는 않지만 글로벌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기업간거래(B2B) 부스를 열었다. LG유플러스는 2019년 전시까지는 LG전자와 함께 대형 부스를 차렸지만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에서 철수하며 이번 행사에서는 일반 소비자보다는 B2B 비즈니스에 집중한다. 5G 서비스와 콘텐츠를 중심으로 유럽·중동 지역 이동통신사를 비롯한 세계 20여 개 기업과 수출 상담을 진행한다. 그동안 LG유플러스는 중국 차이나텔레콤, 홍콩 PCCW, 일본 KDDI, 대만 청화텔레콤, 태국 AIS, 말레이시아 셀콤 등에 누적 2300만 달러 규모의 5G 서비스·콘텐츠를 수출해온 바 있다. 이번 행사에서 LG유플러스는 해외 바이어들을 대상으로 XR 콘텐츠 등 ‘K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이다. 지난해 11월 출시한 U+DIVE 애플리케이션에서 VR·AR 영화, 공연과 여행·웹툰·게임·교육 등 3000여 편의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