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克日 2년…잠자던 K-소부장 깨어났다

정부·기업 '日 규제' 대응 시너지

불화수소 등 내재화·공급망 성과

100대품목 日 의존도 6.5%P 뚝






일본 정부가 지난 2019년 7월 단행한 수출 규제 조치 이후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생태계 공급망이 빠르게 내재화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일본 수출 규제의 직격탄을 맞은 기업들과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의 속도감 있는 대응책이 시너지 효과를 일으켰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미중 패권 다툼으로 글로벌공급망(GVC) 재편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기업의 기술 개발과 정부의 새로운 통상 전략이 새로운 기회를 만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는다.

관련기사



27일 소부장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2월 5개 소부장 특화단지를 선정한 데 이어 ‘맞춤형 지원방안’을 잇따라 공개하는 등 소부장 부문에 대한 지원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정부 발표안에 따르면 정부는 경기 지역을 국내 산업계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반도체’ 특화단지로 선정한 데 이어 전기차 배터리 보급 확대 등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탄소 소재’ 육성을 위한 특화단지로는 전북을 선정했다. 또 중국과 치열한 1위 경쟁을 벌이고 있는 ‘2차전지’ 육성을 위해 충북을 관련 산업 특화단지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한국이 압도적 경쟁 우위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문의 초격차 강화를 위해 충남을 특화단지로 각각 지정했다. 수도권에 이어 국내 두 번째 규모의 산업단지인 경남은 인공지능(AI)과 초정밀 장비 개발을 위한 ‘정밀기계’ 특화단지로 지정했다. 이외에도 정부는 강소 기업에 보증 및 융자 등으로 총 6000억 원을 지원하고 지난해 한 해 동안 핵심 전략 품목 관련 협력 모델의 연구개발(R&D) 사업에 1069억 원을 지원했다.

이러한 지원책에 힘입어 일본의 수출 규제 3대 품목인 △불화수소 △극자외선(EUV)용 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의 국산화 및 공급망 다변화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 소부장 주요 100대 품목의 일본 수입액 비중은 지난 2019년 31.4%에서 지난해 24.9%로 낮아졌다. 또 최근 2년 새 상장사 기준 국내 소부장 기업의 매출 상승률은 업계 평균 대비 5.9%포인트 높은 15.7%를 기록했으며 차량용 반도체 공급망 안정 등의 성과도 얻어냈다. 특히 2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파우치는 일본 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독점하고 있으나 국내 기업인 율촌화학이 정부 지원 등을 바탕으로 조만간 이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요소수 수급난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소재 단계의 공급망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지금과 같은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을 이어나가겠다”며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경제 안보 핵심 품목 관리와 같은 원소재 단계의 공급망도 지속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