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3·1절 맞아 '김구 맏며느리' 안미생 선생 등 219명 유공자 포상

충칭 대한민국임시정부 '입'으로 활약…안중근 동생 안정근 딸

3·11 만세시위 이끈 일신여학교장 데이비스 등 호주인 3명도 포함

[국가보훈처 제공=연합뉴스][국가보훈처 제공=연합뉴스]




국가보훈처가 제103주년 3·1절을 맞이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비서로 활약한 안미생 선생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하는 등 총 219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27일 밝혔다.



안중근 선생 동생인 안정근 선생의 딸이자 김구 선생의 맏며느리인 안미생 선생은 지난 1940년대 중국 충칭에서 한국독립당 당원, 대한민국임시정부 비서로 활동했다. 보훈처에 따르면 그는 외국어에 능통하고 국제 정세에 밝았다. 그가 김구 선생의 며느리가 된 것은 독립운동 명문가인 안중근 가문과 김구 가문의 만남으로도 기록됐다. 부친인 안정근 선생과 오빠 안원생, 남편 김인 선생 등도 이미 독립유공자로 서훈됐다. 안미생 선생의 행적은 1960년대 미국 이주 후 알려진 바가 없다가 최근에서야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지 않은 채 살다 2008년 쓸쓸히 사망한 사실이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번 포상 대상자에는 호주인 마거릿 샌더먼 데이비스(건국훈장 애족장) 등 당시 일신여학교 3·11 만세 시위를 이끈 호주인 3명도 포함됐다. 마침 지난해가 한·호주 양국 수교 60주년으로 이번 포상을 계기로 새로운 10년을 시작하는 올해 남다른 의미를 갖게 됐다고 보훈처는 전했다.

이들을 포함해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84명(애국장 20명·애족장 64명), 건국포장 30명, 대통령표창 105명으로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고 여성은 23명이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