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투표지 쓰레기 봉투에 담고 기표된 용지 배부…"왜 직접 못넣나" 곳곳 항의

■확진자 사전투표 허술한 관리

선관위 '한번에 모아 투입' 지침

비닐봉투·소포 종이박스 보관도

투표소 부족하고 야외에 설치돼

오랜 시간 추위 떨다 돌아가기도

지난 5일 경남 창원시 성산구 사파동주민센터 야외에 마련된 코로나19 확진자용 기표소에서 선거 사무원이 임시보관함을 들고 서 있다. 연합뉴스지난 5일 경남 창원시 성산구 사파동주민센터 야외에 마련된 코로나19 확진자용 기표소에서 선거 사무원이 임시보관함을 들고 서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진자들의 투표권 보장을 위해 사전투표 둘째 날인 지난 5일 오후 5시부터 오후 6시까지 확진자의 사전투표를 허용했지만 선거 사무 미비로 전국 곳곳 투표소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선관위가 선거인이 직접 투표함에 기표지를 넣지 않고 선거 관계인이 한 번에 모아 넣도록 지침을 마련하면서 발생한 문제다. 투표소에 따라 기표지를 비닐 봉투나 종이 박스에 보관하면서 허술한 선거 행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 기표지를 쓰레기봉투에 모은 사례도 알려져 빈축을 샀다. 추운 날씨에도 투표권 행사를 위해 많은 확진·격리자가 사전투표소를 찾았지만 투표소가 부족하고 야외에 마련된 탓에 오랜 시간 추위에 떨다 그냥 돌아가는 사례도 속출했다.

관련기사



서울경제 취재에 따르면 지난 5일 인천 송도1동·3동 행정복지센터에서는 기표 용지를 선거 관계자에게 건네달라는 안내에 일부 유권자들이 거세게 항의했다. 기표지를 타인에게 넘겨준다면 옮기는 과정에서 분실·바꿔치기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선관위는 확진자들이 별도로 마련된 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친 뒤 선거 관계자에게 기표지를 전달하도록 지침을 마련했다. 선거 관계자가 기표지를 모아 참관인과 함께 투표함으로 이동해 투입하는 방식이다. 문제는 확진자 투표소가 야외에 마련된 경우 선거인들이 기표지가 투표함에 투입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없다는 점이다. 이에 전국 곳곳에서 이와 유사한 항의가 잇따랐다.

기표 용지를 보관하는 방식도 문제가 됐다. 부산 강서구 명지1동 사전투표소에서는 선거 관계자가 확진자 기표지를 바구니에 담자 유권자들이 비밀투표가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표지 보관 방식이 투표소마다 제각각인 것도 논란의 대상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기표 용지를 종이 쇼핑백에 모았다거나 우체국 택배용 종이 상자에 보관했다는 고발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기표지를 모은 것으로 알려져 질타를 받기도 했다.

기표소가 부족한 것도 혼란을 가중시켰다. 대부분의 투표소가 확진자 투표소를 야외에 한 곳만 마련한 탓이다. 확진 판정을 받아 재택 격리 대상인 인원이 100만 명이 넘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량이다. 코로나19 확진자의 투표 시간이 사전투표 둘째 날 오후 5시부터 한 시간에 불과해 유권자들이 몰리면서 일부 투표소에서는 줄이 100m 가까이 늘어서기도 했다. 추위를 견디지 못해 투표를 포기하고 돌아가는 유권자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선거 관리 인력이 부족한 데 비해 유권자가 몰리면서 이미 기표된 용지를 배부 받는 일도 발생했다. 선관위는 “선거 관계인이 확진자 기표 용지를 여러 장 들고 선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미 기표된 용지를 배부하는 사례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