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우크라 사태에 눈치보기…“성급히 대만 공격 안할 것”

中, 러 제재 '학습효과'…대만 침공 유보할 듯

日, 대만 돌발사태 대비 새로운 대응계획 추진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AFP 연합뉴스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AFP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대만의 안보 우려가 커진 가운데 중국이 우크라이나 분쟁을 계기로 대만을 성급히 공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시됐다.



대만언론 연합보는 7일 일본 오키나와 국제대학의 노조에 후미아키(野添文彬) 부교수가 최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세계 각국의 제제와 비판에 직면하면서 중국도 단기간 내 대만 침공이 쉬운 일이 아님을 깨달았을 것이라 내다봤다고 보도했다. 다만 그는 중국이 여전히 대만 침공 의도를 포기하지 않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어 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일본의 안전보장 의제 협의에도 변화가 생겼다고 지적했다. 노조에 교수는 우크라이나 정세와 대만에서의 돌발 사태 등을 함께 고려한 일본 매파의 헌법 개정, 미국의 '핵 공유', 방위 역량 강화 등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의 한 군사평론가는 대만에서 돌발 사태가 발생하면 오키나와의 미군과 일본 자위대 시설 등이 모두 중국군의 공격 목표가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특히 최근의 전쟁 양상이 미사일 공격을 위주로 이뤄지면서 일본이 미사일 부대를 배치한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지마(那國島), 가고시마(鹿兒島)현 아마미오시마(奄美大島) 등 도서 지역도 공격 목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그는 중국군이 지상 및 함정, 항공기를 이용한 미사일 공격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보듯 민간 지역에도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대피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경우 지하대피소가 많지만 오키나와, 이시가키(石垣), 미야코(宮古) 등에는 지하대피소가 적으며 관련 건설 논의조차 없다면서 일본 중앙정부를 비판했다.

앞서 일본 언론은 중국이 무력으로 통일을 실현하려는 전쟁 상황이 대만에서 벌어질 경우 일본과 미국이 공동으로 군사작전을 펼치는 내용의 새로운 대응계획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일본 정부는 '핵무기를 제조하지도, 보유하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는 비핵 3원칙을 이유로 ‘핵 공유’는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수정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