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동해안 산불 원인 조사 본격화…산림청장 "실화 추정, 용의자 특정 아직 안돼"

경찰, 최초 발화지점 중심으로 수사반경 확대

7일 강원 동해시 백봉령 산불 현장에서 산림청 강릉국유림관리소 직원을 비롯한 진화대원들이 잔불 정리를 하고 있다. 동해=연합뉴스7일 강원 동해시 백봉령 산불 현장에서 산림청 강릉국유림관리소 직원을 비롯한 진화대원들이 잔불 정리를 하고 있다. 동해=연합뉴스




경북 울진 산불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한 조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



자연발화 가능성도 있지만 담뱃불 등에 의한 실화 가능성이 유력하게 지목되면서 산림당국이 용의자를 찾고 있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7일 오전 울진 현장 브리핑에서 '실화 용의자가 나왔나'라는 기자 질문에 "아직 특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재 산림청과 경찰, 경북도는 최초 발화지점으로 추정되는 울진군 북면 두천리 야산 앞을 발화시점에 앞서 지나간 차량 3대의 소유주를 찾고 있다.

관련기사



경찰은 현장 주변 폐쇄회로(CC)TV를 확인했으나 차량 번호 등 신원을 특정할 수 있는 단서를 확보하지 못해 수사 반경을 주변으로 확대하고 있다.

울진경찰서 관계자는 "아직까지 차량 소유주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현장 폐쇄회로(CC)TV에서 지나간 차량은 보이는데 구체적으로 확인은 안 된다"고 밝혔다.

앞서 공개된 CCTV를 보면 지난 4일 최초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기 1~7분 전 차량 3대가 인근 도로를 지나간다.

이후 불꽃이 생기면서 주변 산 전체로 불길이 빠르게 확산했다. 이로 인해 담뱃불에 의한 실화 가능성 등이 제기됐다. 전날 산림청장도 브리핑에서 "길가에서 발화했기 때문에 담뱃불이나 기타 불씨로 인한 실화가 요인이 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해당 도로는 발화 추정 지점과 10m가량 떨어진 왕복 2차선 도로로 보행로는 없다.

동시에 자연 발화 등의 가능성도 확인하기 위해 국립산림과학원 등 관련 전문가들이 지난 4일 현장에서 1차 조사를 하는 등 정확한 화인을 조사 중이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