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미일, 北 미사일 규탄했지만… 중러 반대로 유엔 안보리 성명은 무산

한국 등 11개국 유엔 대사 "북은 안보리 결의 이행해야"

중러의 비협조에 대해 유감 표명… "안보리 신뢰성 해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일 제2차 초급당비서대회 참가자들의 박수를 받으며 이동하고 있다./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일 제2차 초급당비서대회 참가자들의 박수를 받으며 이동하고 있다./연합뉴스




한미일 등 11개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규탄했다. 또 중국과 러시아의 북한 감싸기에 대해서도 유감을 표명했다.



한국과 미국, 일보, 영국 등 11개국 유엔대사는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보리 비공개회의를 마친 뒤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는 대표로 나와 “위험한 불법 행위를 한목소리로 규탄할 것을 촉구한다”며 “모든 회원국이 북한에 관한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11개국 대사는 또 중국과 러시아도 이에 대해 동참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안보리가 아무 행동도 하지 않으면 북한 문제에 대한 안보리 자체의 신뢰성을 해칠 뿐 아니라 글로벌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킨다”며 “안보리는 명백하고 거듭된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할 책임이 있다”고 언급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성명 낭독이 끝난 뒤 “중국과 러시아도 오늘 여기 합류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관련기사



유엔 안보리는 중국과 러시아가 협조하지 않아 결국 ‘빈손’으로 북한의 미사일 문제에 대한 논의를 마치게 됐다. 이날 한미일 등은 안보리 차원의 언론성명 채택 등에 나섰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동참을 끌어내는 데 결국 실패한 것이다.

한편, 북한은 올 들어 탄도미사일 11발 발사하는 등 국제사회를 긴장시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과 핵 개발 모라토리엄(중지)을 철회하겠다고 밝혀 도발 수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이날 “북한이 영변 핵시설 내 5메가와트(MW) 원자로를 가동 중”이라며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했고 매우 유감”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