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남편 살아있나요?"…우크라 핫라인으로 러시아 군인 생사 확인한다

러시아, 군인들 가족과 의사소통 철저히 차단

우크라 "핫라인으로 러시아 가족 수십명 병사와 연결"

러시아의 전쟁포로들이 지난 2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AP 연합뉴스러시아의 전쟁포로들이 지난 2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A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 투입된 후 연락이 끊긴 러시아 군인의 가족들이 생사를 확인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정부가 운영하는 상담전화(핫라인)에 몰리고 있다.

미국 CNN 방송은 우크라이나 내무부가 운영하는 핫라인 '우크라이나에서 살아 돌아오라'에 걸려온 러시아 병사 가족과의 통화 내역을 8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지난달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시 이후 6000통 이상의 전화가 쏟아졌다. 러시아 극동지역 블라디보스토크에서부터 남부 우크라이나 접경지인 로스토프온돈에 이르기까지 각지에서 전화가 걸려왔다. 미국, 유럽에서도 전화가 오기도 하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핫라인을 통해 러시아 가족 수십 명을 우크라이나에 있는 러시아 병사들과 연결해줬다고 정부 고위 관계자가 밝혔다. 통화 내용에 따르면 러시아 병사들은 자신들의 군사 계획이나 우크라이나 배치 이유를 알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 군인들이 가족들과의 의사소통도 막혔다. 파병된 러시아 군인들은 “가족들에게 자신이 예비군 훈련 또는 군사 훈련을 위해 파견됐다”고 말했고 이들 중 다수는 전쟁 직전인 지난달 22일 또는 23일에 연락이 끊겼다고 한다.

관련기사



한 러시아군의 아내는 “남편이 국경을 넘은 지난달 23일을 끝으로 연락이 두절됐고 키이우(키예프)로 간다고 했을 뿐 다른 말은 없었다”며 눈물을 보였다.

미 버지니아에 거주한다는 마라트씨는 러시아에 있는 친척을 대신해 사촌의 안부를 문의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정부가 운영하는 텔레그램 채널에서 사촌의 신분증 사진을 봤다”고 말했다. 이 채널은 우크라이나 정부가 자국에서 교전 중 숨지거나 다친 러시아 병사들 또는 포로로 잡힌 이들의 정보를 공개하는 곳이다. 여권 사진, 이름, 인식표, 부대 이름 등의 정보가 올라온다.

마라트씨는 친척들이 러시아 당국의 보복을 우려해 직접 핫라인에 전화할 엄두는 내지 못했다며 "러시아에 있는 모든 사람이 겁먹은 상태"라고 말했다.

다만 이 핫라인은 인도적 지원 뿐만 아니라 러시아인에 대한 선전 목적도 있다고 CNN은 설명했다. 러시아 병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러시아 내 전쟁 반대 여론을 부추기기 위해 운영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핫라인 운영자 크리스티나(가명)는 "우선 러시아 군인들이 가족들을 찾는 것을 돕고 전반적으로는 이 전쟁이 끝나는 것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한 진실을 더 많은 사람과 공유할수록, 더 많은 이들이 거리로 나가 사태를 멈추길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