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윤석열 제 20대 대통령 당선…5년 만의 정권교체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8일 서울광장에서 마지막 유세를 하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8일 서울광장에서 마지막 유세를 하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신승을 거두며 당선됐다.

윤 당선인은 10일 오전 6시21분께 100% 개표를 완료한 가운데 48.56%, 1639만여표를 얻어 당선을 확정지었다. 이 후보는 47.83%, 1614만표를 얻었다. 득표차는 0.73%, 24만7077표차에 불과했다. 역대 대통령 선거 사상 1·2위 후보의 득표 격차가 가장 적었다. 이전 격차가 가장 적었던 대선은 1997년,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후보와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가 맞붙었을 때다. 당시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는 40.27%의 득표율로 38.74%를 얻은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를 상대로 신승을 거뒀다. 표차는 39만557표, 득표율 차는 1.53%포인트였다.



개표율 51%까지는 이 후보가 우세한 흐름을 보였다. 하지만 이후 윤 후보가 역전하면서 줄곧 1% 내의 격차를 유지했다. 이 때문에 개표율이 95%를 넘어설 때까지도 당선인을 확정하지 못하는 초접전 양상이 이어졌다.

관련기사



윤 후보는 당선이 확정되자 서초구 자택에서 나와 당 개표상황실이 차려진 국회 도서관으로 이동했다. 윤 당선인은 "당선인 신분에서 새 정부를 준비하고 대통령직을 정식으로 맡게 되면 헌법 정신을 존중하고 의회를 존중하고 야당과 협치하면서 국민을 잘 모시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도 윤 후보의 당선이 확정되자 곧바로 결과에 승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윤석열 후보에게 축하 인사를 드린다”면서 “통합과 화합의 시대를 열어달라”고 말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로 궤멸 위기로까지 내몰렸던 보수진영은 이번 대선으로 5년 만에 정권을 탈환했다. 이로써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로 보수와 민주 진영이 10년 간격으로 번갈아 집권했던 '10년 주기론'도 깨지게 됐다. 윤 당선인은 국민 투표를 통한 선출직 경험이 전무한 상태로 대선을 거머쥐는 기록도 세우게 됐다. 앞선 13∼19대 전·현직 대통령들이 국회의원직을 최소 1차례 이상 경험했고 대부분 당 대표까지 역임했다.

진보에서 보수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정치·외교,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분야에 걸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와 우크라이나 사태, 치열한 대선 과정에서 불거졌던 세대·젠더·이념적 갈등 등 새로운 보수 대통령이 맞닥뜨린 과제도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다. 윤 당선인은 10일 오전 국립현충원 참배를 시작으로 당선인으로서의 행보를 시작한다.


김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