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골프 골프일반

K골프의 미래[동십자각]

양준호 골프팀 차장


“이런 환경에서도 잘하는 선수가 나온다면 아스팔트를 뚫고 나온 꽃이라고 봐야죠.”

최근 만난 20대 후반의 한 골프 선수는 “저 어릴 때보다 요즘 주니어 선수들이 더 골프 치기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다”며 이렇게 얘기했다.

실제로 예전에는 일정 수준의 대회 성적을 증명한 주니어 선수에 한해 개별소비세 정도의 금액만 받고 18홀 라운드 기회를 제공하는 골프장이 꽤 있었다. 하지만 요즘은 개소세를 면제해주는 골프장조차 거의 사라지는 분위기다. 유례없는 골프 붐에 골프장들은 일반 손님 받기도 바쁘다. 골프는 초활황인데 이른바 K골프의 미래는 점점 어두워지는 엇박자가 나고 있다. 어쩔 수 없이 딱딱한 연습장 매트에 익숙해진 어린 선수들이 훗날 잔디에서 실력을 뽐낼 확률은 떨어지는 게 당연하다.



미국 남녀프로골프 투어에서 아직은 한국 선수들의 위세가 공고해 보이지만 이대로면 당장 10년 뒤를 장담할 수 없다. 현장에서는 벌써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아시아 맹주 자리를 내줄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는 위기감이 돌고 있다. 정부와 골프장들이 손잡고 정책적으로 골프 선수를 육성하는 나라들이다.



대한체육회 등록 선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학생 골프 선수(초중고 및 대학생)는 2244명이다. 거의 10년간 계속되던 감소세가 반전해 지난 2016년 이후 5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특히 초등부는 11년 만에 처음으로 500명대를 찍었다. 이렇게 늘어난 꿈나무들의 꿈을 얼마나 잘 키워주느냐가 결국 K골프의 경쟁력일 텐데 “연습할 곳이 없어 막막하다”는 안타까운 목소리만 커지는 게 현실이다.

대책은 멀리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는 정부 부처나 공공기관이 소유·운영하는 골프장이 거의 30곳 있다. 이들이 먼저 나선다면 주니어 선수들을 배려하는 문화가 골프장들 사이에 확산할 수 있다. 그린피 할인을 넘어 유소년 대회 개최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마땅하다. 다양한 코스에서 다양한 조건을 경험하는 것이 생명인 꿈나무들이 대회를 열려는 골프장이 없어 매번 2~3개 코스만 돌고 있는 상황을 생각한다면 더욱 그렇다.

유료든 무료든 골프장 내 연습 그린을 열어주는 것은 가장 시급한 문제다. 몇몇 골프장을 가보면 연습 그린이 퍼트 훈련을 하는 주니어 선수들로 콩나물시루처럼 빼곡하다. 그만큼 연습 그린을 개방하는 골프장이 드물다는 뜻이다.

정부는 부쩍 비싸진 그린피에 일반 골퍼들의 항의가 높아지자 ‘착한 골프장’을 골라내 세제 혜택을 주는 그린피 현실화 대책을 최근 발표했다. 하지만 정작 정부·공공기관 골프장은 요지부동이다. 주말 기준 그린피가 20만 원을 훌쩍 넘는 곳이 여럿이다. 이런 곳들에 K골프의 미래를 위한 솔선수범을 바라는 것은 무리일까.






양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