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文·尹 16일 첫 회동…MB 사면 매듭짓나

[윤석열 시대]

김기현 "이재용 사면도 결론을"

與 내부서도 "미룰 일 아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9년 7월 25일 당시 윤석열(앞줄 오른쪽) 검찰총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환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9년 7월 25일 당시 윤석열(앞줄 오른쪽) 검찰총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환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6일 첫 회동을 위한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14일 알려졌다. 코로나19 방역 정책 등이 의제로 올라올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명박 전 대통령의 특별사면 문제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린다.



14일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차담 등 형식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16일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회동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9일 대선이 치러진 지 정확히 일주일 만이다. 이번 회동은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 신분으로 2020년 6월 반부패정책협의회에 참석하기 위해 청와대를 찾은 뒤 21개월 만에 이뤄지는 재회다. 통상 대통령과 당선인은 대선 이후 열흘 안에 만났다. 17대 대선에서는 이명박 당선인이 노무현 대통령과, 18대 대선에서는 박근혜 당선인이 이명박 대통령과 각각 9일 만에 만찬 회동을 가졌다.

관련기사



회동에 대한 관심은 이 전 대통령의 사면 여부에 쏠려 있다. 정치권에서는 회동 공식 의제로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지원 방안,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동향 등과 같은 현안을 올리되 윤 당선인이 이 전 대통령 사면 문제를 ‘건의’하는 방식으로 사면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 사면이 실행에 옮겨진다면 문 대통령 임기 종료 전날인 부처님오신날(5월 8일)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국민의힘에서는 지난해 말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이후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 요구가 거세다.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윤 당선인을 선택한 국민의 표심은 진영 갈라치기는 그만하고 국민 통합을 위해 화합과 번영의 새 시대를 열어달라는 것”이라며 “이 전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에 대한 사면과 복권 문제를 이제는 매듭지어야 할 때”라고 촉구했다. 이 전 대통령과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함께 사면하자는 여야 양측의 타협안도 거론된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도 이 전 대통령의 사면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이 나왔다. 이상민 민주당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서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도 자연스럽게 하지 않을 수 없는 단계”라며 “현직 대통령과 차기 대통령 되실 분이 같이 뜻을 맞춰서 하면 좋은 모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문 대통령께서 이 문제를 풀어내시고 퇴임하시는 것이 보기도 좋고, 또 다음 대통령한테 미룰 일도 아닌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