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러軍에 2주째 포위된 마리우폴서…민간인 처음 빠져나왔다

마리우폴 당국 "대피통로 안전 보장못해"

고립된 시민 위한 인도적 지원품 전달은 실패

1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마리우폴의 한 아파트 입구에서 사람들이 포격을 피하고 있다. AP연합뉴스1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마리우폴의 한 아파트 입구에서 사람들이 포격을 피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열흘 넘게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포위됐던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에서 처음으로 민간인의 대피가 성공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마리우폴 시의회는 14일(현지시간) "개인 차량 160대가량이 마리우폴을 떠나 베르댠스크로 향했다"고 밝혔다. 페트로 안드리우시센코 마리우폴 시장 보좌관도 "마리우폴-멜레키네-포르토프스케-망구시-베르댠스크-자포리자 루트의 인도주의 통로를 통해 민간인의 대피가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그는 "오후 1시 현재 이미 50대 이상의 차량이 베르댠스크를 통과해 자포리자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현재까지는 검문소를 통과하는 데 어려움이 없지만 공식적으로 이 통로의 안전을 보장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현재 공식적으로 승인되고 작동하는 통로는 오직 이곳뿐"이라고 덧붙였다.

마리우폴 시의회도 “이 통로는 반(半)공식적인 것이다”며 "이곳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오직 개인 차량을 가진 사람만 이용 가능하다"고 했다.

13일(현지시간) 한 남성이 우크라이나 마리우폴에서 포격으로 파손된 불탄 아파트 건물을 바라보고 있다. AP연합뉴스13일(현지시간) 한 남성이 우크라이나 마리우폴에서 포격으로 파손된 불탄 아파트 건물을 바라보고 있다. AP연합뉴스


열흘 넘게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포위됐던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에서 처음으로 민간인의 대피가 성공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마리우폴 시의회는 14일(현지시간) "개인 차량 160대가량이 마리우폴을 떠나 베르댠스크로 향했다"고 밝혔다. 페트로 안드리우시센코 마리우폴 시장 보좌관도 "마리우폴-멜레키네-포르토프스케-망구시-베르댠스크-자포리자 루트의 인도주의 통로를 통해 민간인의 대피가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그는 "오후 1시 현재 이미 50대 이상의 차량이 베르댠스크를 통과해 자포리자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현재까지는 검문소를 통과하는 데 어려움이 없지만 공식적으로 이 통로의 안전을 보장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현재 공식적으로 승인되고 작동하는 통로는 오직 이곳뿐"이라고 덧붙였다.

마리우폴 시의회도 “이 통로는 반(半)공식적인 것이다”며 "이곳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오직 개인 차량을 가진 사람만 이용 가능하다"고 했다.

마리우폴에는 약 40만 명의 시민이 거주 중이며 이 가운데 20만 명가량이 대피 의사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마리우폴에서 민간인을 대피시키려는 시도는 이미 여러 차례 무산됐다.

러시아군은 마리우폴을 방어하는 우크라이나군의 저항 의지를 꺾기 위해 마리우폴에 화력을 쏟아붓고 있다. 러시아군은 14일째 마리우폴을 포위하고 있으며, 마리우폴의 식수·난방·전기 공급은 이미 차단됐다.

마리우폴 시의회는 지금까지 2500명 이상의 민간인이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사망했다고 밝혔다. 지난 9일에는 러시아군의 포격으로 산부인과 병원이 파괴돼 러시아에 국제적인 비난이 집중되기도 했다.

그동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모두 상대방이 민간인의 대피를 위한 휴전 협정을 준수하지 않았다며 비난해왔다.

이날 마리우폴을 빠져나오려는 민간인의 대피는 일부 이뤄졌으나 도시에 고립된 사람을 위한 식수·식량·의약품 등의 물품 반입은 실패했다.

이리나 베레슈크 우크라이나 부총리는 "러시아군의 포격으로 여전히 인도적 지원 물품은 마리우폴 안으로 들어가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1주일 간 마리우폴에 인도적 지원품을 전달하고 여성과 아이를 대피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나 모두 실패했다”며 "이날도 호송 트럭은 도시에 도착하지 못했다"고 안타까움을 전했다.

한편 유엔은 러시아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에서 숨진 민간인 수가 600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유엔 인권사무소에 따르면 전쟁이 시작한 지난달 24일 오전 4시부터 14일(현지시간) 0시까지 우크라이나에서 어린이 46명을 포함해 민간인 636명이 숨졌다. 부상자는 어린이 62명을 포함해 1125명으로 집계됐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