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MZ세대, 아빠·삼촌보다 버는 돈 적은데 빚은 더 많아

한은 경제연구원 분석

소득·자산·부채·소비 모두 악화

향후 주력 세대인데 경제 취약





1980년부터 1995년 사이에 태어난 이른바 MZ세대가 향후 국내 경제 활동의 주력 세대로 부상하고 있지만 소득·자산·부채·소비 등 전반적인 경제 사정이 이전세대보다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으로 소득이 적어 투자할 돈도 마땅치 않은데 집값 상승으로 주택 마련을 위한 부채는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MZ세대 인구가 점차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이들의 소득을 늘리는 동시에 부채를 줄일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5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MZ세대의 현황과 특징’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통상 밀레니얼 세대(M세대)는 1980~1994년생, Z세대는 1995년생 이후를 말한다. 1995년생을 제외하면 Z세대는 본격적인 소득과 소비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1980~1995년생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지난 2000년을 기준 연령대가 동일한 1962~1977년생과 비교한 결과 MZ세대는 이전세대보다 경제 사정이 취약하다는 것이다.



먼저 2018년 기준 MZ세대 연령대 근로소득은 2000년 당시 동일 연령대 근로소득보다는 높아졌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X세대(1965~1979년생)나 BB세대(1955~1964) 근로소득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또 2018년 기준 MZ세대 연령대 금융자산은 2012년 동일 연령대 금융자산에 비해 일부 높아졌으나 2000~2017년을 두고 보면 증가 폭이 미미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무엇보다 2018년 기준 MZ세대 연령대의 총부채는 주택마련 목적의 금융기관 차입이 증가하면서 2000년 이후 동일 연령대 대비 대폭 높아졌다. X세대나 BB세대 총부채 증가 폭을 크게 웃도는 상황이다. MZ세대 총소비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거의 변동이 없으며 소비성향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최영준 한은 미시제도연구실 연구위원은 “MZ세대가 불황기에 취업해 근로소득이 낮은 편”이라며 “생활비를 떼고 나면 투자할 자금이 부족해 금융자산 축적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MZ세대가 점차 우리 경제 주력 세대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의 경제 사정이 취약한 만큼 향후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크다. 따라서 정책 당국에서 MZ세대의 생활방식, 취약 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꾸준히 점검하는 동시에 소득 증가, 부채 감소 등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