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시장경제주의자들 전면에…'예비 내각' 수준으로 인재 등용

[윤석열 시대]

■ 3개 분과 인수위원 면면 보니

정치인 2명에 전문가 7명 포진

캠프 출신·외부 인사 균형 이뤄

朴정부 차관 최상목 화려한 부활

외교안보 간사에 초등동창 김성한

'믿을맨' 이용호·유상범 정무 주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15일 발표한 경제1·외교안보·정무사법행정 분과 인수위원 9명의 면면을 보면 정치인이 2명, 전문가가 7명이다. 전문가 중에는 캠프 출신이 3명이다. 캠프에서 요직을 담당한 인사들과 전문성을 갖춘 외부 인사가 균형을 이룬 모양이다.



경제1 분과는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이 간사를 맡고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신성환 홍익대 경영학부 교수가 인수위원으로 참여한다.

최 전 차관은 거시경제·금융경제 분야 전문가로 기재부 요직을 거친 관료 출신이다. 캠프에는 관여하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에서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 기재부 1차관을 지내며 승승장구했다. 정권이 바뀌면서 사실상 야인 생활을 하다 이번에 화려하게 부활한 셈이다.

김 교수는 한국은행·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 경험을 쌓은 거시경제·국제금융 전문가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비판한 대표적인 학자다. 그는 캠프에서 경제정책본부장을 맡아 손실보상 50조 원, 자본시장 선진화 등 핵심 경제 공약을 총괄해왔다.

신 교수도 비캠프 인사다. 박근혜 정부 시절 한국금융연구원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금융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재무 관리와 국제 금융 분야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외교안보 분과는 김성한 전 외교통상부 차관이 간사를 맡고 김태효 전 대통령전략기획관과 이종섭 전 국방부 합동 참모 차장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관련기사



김 전 차관은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등 30여 년간 외교 분야에서 활동한 국제정치 전문가다. 윤 당선인과는 초등학교 동창 사이다. 캠프에서 외교안보정책본부장을 맡아 외교안보 분야를 총괄했다. 윤 당선인의 신뢰를 바탕으로 외교안보 정책 키를 계속 쥐고 가는 모습이다.

김 전 기획관은 국제정치학 박사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다.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대외전략비서관에 임명됐고 이후 수석급인 기획관으로 승진했다. 당시 사실상 모든 외교안보 정책이 그의 손을 거친다고 할 정도로 높은 영향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다 한일 정보보호협정과 관련해 밀실 처리 파동으로 논란이 커지자 물러났다.

이 전 차장은 국방 전략과 한미 전문성을 겸비한 국방 관료다. 캠프에서 국방정책 특보로 활동하며 언론사 정책 대담에 나서기도 했다.

정무사법행정 분과는 이용호 국민의힘 의원이 간사를 맡고 유상범 의원, 박순애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가 위원으로 참여한다.

이·유 의원은 윤 당선인의 ‘믿을 맨’이다. 이 의원은 무소속 상태에서 윤 당선인의 도움 요청을 받고 국민의힘에 전격 입당했다. 이후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 새시대준비위원회 대외협력위원장 등 요직을 맡았다. 또 전북선대위 총괄선대위원장을 맡아 호남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활약을 펼쳤다.

유 의원은 윤 당선인의 검찰 선배다. 선거 운동 당시 당 법률지원단장을 맡아 네거티브에 대한 법적 대응을 주도했다.

박 교수는 행정학 분야 전문가로 행정학회장, 유엔 전문가위원회 공공위원을 지냈다. 앞서 국민의힘이 지난 4·7 부산시장 보궐선거 후보로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