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온난화로 바다 지형도 변한다…북극 해저에 거대 싱크홀 발견

해저 수중 영구동토층이 녹아 거대 싱크홀 생성

마지막 빙하기 이후 진행돼온 느린 기후 변화에 의한 것

미국 연구진이 캐나다 북부 보퍼트해 인근 북극 대륙붕 해저에서 거대한 싱크홀을 발견했다. 연합뉴스미국 연구진이 캐나다 북부 보퍼트해 인근 북극 대륙붕 해저에서 거대한 싱크홀을 발견했다. 연합뉴스




미국 연구진이 북극 해저에서 수중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9년 사이에 형성된 빌딩 단지만한 거대 싱크홀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미국 CNN 방송은 1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베이 수족관 연구소(MBARI) 찰스 폴 박사팀은 국제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2010∼2019년 4차례에 걸쳐 캐나다 북부 보퍼트해 인근에서 북극 해저 지형 탐사를 해 최대 깊이 28m, 폭 95m, 길이 225m의 싱크홀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연구진은 또 같은 기간 '핑고'(pingo)로 불리는 화산 모양의 얼음 언덕도 형성됐다며 북극 해저 지형의 이런 급격한 변화들은 수중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상에서는 북극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지반 붕괴, 호수 생성·소멸 등 큰 지형 변화가 많이 관찰됐으나 해저 수중 영구동토층이 녹는 현상과 그로 인한 지형 변화를 직접 측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폴 박사는 "해저 지형의 이런 큰 변화는 해저에 설치되는 기반시설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북극에는 현재 이런 시설이 거의 없지만 온난화가 지속되면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지역도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원격조종 수중 수심측정장치를 이용한 북극 해저 지형탐사. 연합뉴스원격조종 수중 수심측정장치를 이용한 북극 해저 지형탐사. 연합뉴스


연구진은 2010∼2019년 북극 해저 26㎢ 면적에 원격조종 수중 수심측정장치를 투입해 해저 지형을 정밀하게 관측해 경사가 가파르게 형성된 깊은 원형 또는 타원형 싱크홀 41개를 발견했다. 이들 싱크홀의 평균 깊이는 6.7m였고, 가장 큰 싱크홀은 깊이가 29m 길이 225m, 폭은 95m로 6층 건물이 들어찬 도심 구역과 맞먹는 크기였다. 연구진은 또 높이 50m, 지름 10m 크기의 얼음 언덕들도 다수 발견했다. 지상에 형성된 이런 얼음 지형은 '핑고'로 불린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는 러시아의 영구동토층 연구자 에브게니 추빌린 박사는 "영구동토층의 변화는 느리게 진행되기 때문에 보통 연간 몇㎝ 정도 변화가 관측된다"며 "이렇게 짧은 기간에 이런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예상치 못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지상 영구동토층 해빙은 대체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지만 이번에 발견한 거대한 해저 싱크홀은 인간이 일으킨 기후변화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폴 박사는 "이 연구는 수중 연구동토층에 대한 첫 연구로 이 지역 해저 온도 장기 데이터가 없을 뿐 아니라 해저 150m에서는 온난화 경향도 포착되지 않았다"며 "거대한 싱크홀은 마지막 빙하기 이후 수천 년간 서서히 진행돼온 느린 기후 변화에 의한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우드웰 기후연구센터 수 나탈리 박사는 "이 연구에서 보고된 변화들은 100∼1000년이 걸리는 사건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현상들"이라며 "이런 변화들이 해저 영구동토층이 녹을 때 온실가스 배출을 초래할 경우 기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수정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