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시, '산업화의 그늘 여천천' 친환경 생태공원으로 만든다

울산시, 여천천?태화강역 친환경 생태공원 조성

삼산·여천 매립장, 돋질산 여천공원…생태숲으로 ?

울산 여천천 일원 생태복원 계획도. /자료제공=울산시울산 여천천 일원 생태복원 계획도. /자료제공=울산시




산업화 시대 환경오염 등으로 시민의 발길이 닿지 않았던 울산 여천천과 삼산·여천매립장, 돋질산 일대가 생태공원으로 재탄생한다.



울산시는 16일 남구 돋질산에서 ‘여천천·태화강역 친환경 생태공원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여천천은 도심 속 청정하천으로 조성한다. 여천천 하류에 여천하수처리장을 2027년까지 건설할 예정이다. 도시개발에 따른 하수량 증가에 대응하고, 기존의 관로를 활용해 고도정화 처리된 방류수를 공업탑 인근에서부터 여천천으로 하천 유지수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여천천에는 현재보다 2~3배 정도의 유량이 확보될 것으로 여천천 물의 흐름과 수질 개선이 기대된다.



울산시는 고도처리 방류수를 활용한 하천 유지수 공급과 함께 여천천 물 흐름 개선을 위한 하천 정비에도 행정력을 집중해 수질 개선과 해충 제거에도 효과를 높일 예정이다. 여천배수장의 악취 등 배수장 주변 환경개선을 위해 퇴적물 건조화 및 준설도 진행한다.

관련기사



둘째, 삼산·여천매립장, 돋질산 여천공원 일원에는 울산의 대표 생태숲을 조성한다. 삼산·여천 매립장 부지는 태화강과 여천천이 만나는 지역으로 1970년대 말까지는 자연 상태의 습지였으나, 1980년대 초부터 1990년대 초까지 10여 년간 지역의 쓰레기를 매립하면서 자연의 모습을 잃어버렸다.

울산시는 해당 부지에 ‘숲의 바다’라는 이름의 울산 대표 생태숲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숲의 바다는 메타세쿼이아와 은행나무로 이루어진 ‘선사의 숲’, 대나무와 억새, 갈대, 상록수와 활엽수를 활용한 ‘현재의 숲’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여천천과 연계해 수생식물원과 산책로, 전망대 등도 만들어 시민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숲의 바다 생태숲 조성과 함께 여천천과 태화강을 연결하는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면 여천천에서 태화강, 동천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이동할 수 있는 녹색 둘레길이 완성된다.

삼산·여천매립장과 여천천 일원 사업들을 태화강역 일원 복합개발과 연계해 추진한다. 태화강역은 지난해 연말 동해선 개통에 따라 이용객이 급증했다. 울산시는 태화강역 수소복합허브 조성 계획을 지난해 1월에 발표하였는데 이를 연계해 태화강역 주변을 수소 기반 문화, 관광, 자연이 어우러진 세계적인 대표 명소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서울의 경우 청계천 복원을 통해 환경을 재정비하고, 일대를 문화의 중심지로 만들었다”며 “여천천을 중심으로 친환경 정주여건을 꾸준히 늘려나가고 지역 문화와 경제의 활력을 높여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