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신규 확진자 44만 명→40만 명 줄어…“집계 과정상의 오류”

유행 정점 예측치도 넘겨…“예측은 주간 평균”

코로나19 신규확진자 수가 40만명을 넘어선 16일 코로나19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으로 지정된 서울 시내의 한 이비인후과에서 시민들이 코로나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코로나19 신규확진자 수가 40만명을 넘어선 16일 코로나19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으로 지정된 서울 시내의 한 이비인후과에서 시민들이 코로나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하루 확진자 수가 전날 밤 각 시도에서 집계한 잠정 수치와 큰 차이가 나면서 혼선을 주고 있다. 정부는 많은 신고가 집계되면서 중복·오류가 일어난 것으로 시스템 안정화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16일 오전 질병관리청은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는 국내 40만 624명, 해외 117명을 더한 40만 741명으로 최종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오후 9시까지 각 지방자치단체가 집계한 잠정 확진자 수 44만 1423명보다 4만 799명 적다.



각 지역별로 보면 방대본은 이날 서울의 신규 확진자 수를 8만1395명으로 발표했는데, 서울시는 전날 오후 9시 기준으로 9만5234명이 감염돼 오히려 1만 4000여명이 더 줄었다. 대구도 방대본은 1만 6756명이라고 발표했지만 지자체에서는 2만 1572명으로 파악해 5000여명의 차이를 보였다.

관련기사



방역당국은 이에 대해 최근 확진자 인정 방식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집계 오류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질병관리청은 참고자료를 내고 “전날 저녁에 보도된 확진자 집계치는 지자체 재난문자와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집계된 수치”라며 “존 확진자나 타 시도 중복 사례, 오류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심야에 정보 확인을 거치는 과정에서 (확진자 숫자가) 줄어들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더욱이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을 확진으로 인정함에 따라 사용자인 의료기관과 확진자가 늘어났고, 확진자 집계 방식도 복잡해져 집계 소요 시간도 크게 늘었다”며 “확진자 집계에 차질이 없도록 긴급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연일 30만명대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에서 지난 14일부터 일반 병·의원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 사례까지 폭넓게 확진으로 인정하면서 집계 시스템에 과부하가 발생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신속항원검사 양성까지 확진으로 인정하면서 상당히 많은 신고가 접수됐다”며 “이러한 사례가 시스템에 집계되는 데 시간이 소요되고 일정 시점 이후로 미처 통계에 잡히지 못한 부분이 있어 이를 오늘(내일 발표) 중으로 반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40만 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오면서 정부가 추정한 유행 정점 시 확진자 규모 31만 6000~37만 2000명을 훌쩍 넘겼다. 손 반장은 “일부 언론에서는 정점 규모(최대 37만2000명)를 절대적인 상한 규모로 보도하고 있으나, 주 평균임을 다시 한 번 알려드린다”며 “일자별 확진자는 휴일 검사량 감소의 영향으로 요일별로 약 30% 정도 편차가 나고 있기 때문에 이 점을 감안할 때 실제적인 하루 확진자 규모는 30명대 초반에서 최대 40만 명대 중반까지 발생하게 되는 수치”라고 해명했다.


왕해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