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우크라 ‘군대 보유’ 허용”…우크라 “안전 보장부터”

양국 4차 협상서 중립국화 논의 일부 진전

젤렌스키는 '나토 가입 시도 철회' 재확인

러, 공격 멈추지 않아… 실제 휴전 여부 지켜봐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지난달 14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회의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지난달 14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회의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협상에서 우크라이나 중립국화에 대한 논의가 일부 진전을 보이고 있다. 평행선만 달리던 이전 협상과 달리 양국이 휴전 합의에 이를 실마리를 찾은 모양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가 자국 군대를 보유하도록 허용하겠다”는 러시아 측 주장에 우크라이나는 “안전 보장 방안부터 합의해야 한다”고 맞서는 등 입장 차이가 여전한 분위기다.



16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우크라이나의) 중립국화가 협상에서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다”며 “관련 일부 사항은 합의에 매우 근접한 상태”라고 말했다.

러시아 측은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의 스웨덴 또는 오스트리아식 중립국화 방안을 우크라이나에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러시아 대통령실인 크렘린궁의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변인은 “우크라이나를 스웨덴이나 오스트리아 같은 중립국으로 만드는 방안이 협상에서 논의되고 있다”며 “이는 ‘타협’으로 볼 수 있다”는 입장을 이날 내놓았다. ‘스웨덴 또는 오스트리아식’이란 우크라이나를 중립국처럼 만들되 자국 군대는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뜻한다고 페스코프 대변인은 설명했다. 이들 국가는 육군과 해군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립적인 비무장 국가에 해당한다. 러시아의 침공 명분이 우크라이나의 ‘비무장화’인 만큼 군대 보유를 허용하는 것은 러시아가 한 발 양보한 것이라는 게 페스코프 대변인 발언의 의미다.

미하일로 포돌랴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보좌관. AP연합뉴스미하일로 포돌랴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보좌관. AP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철회’ 입장을 재확인한 것도 중립국화 논의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됐다.

관련기사



그러나 중립국 지위와 함께 우크라이나의 안전을 담보하는 방안에 러시아가 합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측 협상단 대표인 미하일로 포돌랴크 대통령실 보좌관은 “지금은 러시아와 전쟁을 하는 상황”이라며 “법적으로 안전을 보장하는 ‘우크라이나식’ 모델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변화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지난 14일부터 이날까지 사흘째 4차 협상을 진행하는 가운데 나왔다. 우크라이나 협상단을 이끌고 있는 포돌랴크 보좌관은 전날 트위터에서 “근본적인 모순이 있지만 확실히 타협의 여지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양국 간 논의가 계속 진전돼 실제 휴전에 이를지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뉴욕타임스(NYT)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5일 “우크라이나에 진지한 협상 의지가 없다”고 비판하는 등 러시아 측이 협상에 대해 ‘엇갈린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논평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