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동유럽 3개국 정상 우크라 수도 방문…젤렌스키 "용감한 방문"

체코·폴란드·슬로베니아 정상, 육로로 키이우 방문

"EU 대표해 방문" Vs "승인 없었다"…동·서유럽 시각차 드러내

지난 15일(현지시간) 야로슬라프 카친스키(왼쪽부터) 폴란드 부총리, 페트르 피알라 체코 총리, 야네스 얀사 슬로베니아 총리, 마테우시 모라비에츠 폴란드 총리, 데니스 슈미갈 우크라이나 총리 등 동유럽권 3개국 정상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대화를 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지난 15일(현지시간) 야로슬라프 카친스키(왼쪽부터) 폴란드 부총리, 페트르 피알라 체코 총리, 야네스 얀사 슬로베니아 총리, 마테우시 모라비에츠 폴란드 총리, 데니스 슈미갈 우크라이나 총리 등 동유럽권 3개국 정상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대화를 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러시아의 무차별 폭격이 이어지는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키예프)에 체코, 슬로베니아, 폴란드 등 동유럽권 3개국 정상이 방문했다. 이들은 격추 우려가 있는 비행기가 아닌 7시간 넘게 기차를 타고 지난 15일(현지시간) 오후 키이우에 도착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체코의 페트르 피알라 총리, 슬로베니아의 야네스 얀사 총리 그리고 폴란드의 마테우시 모라비에츠 총리가 전쟁의 포화 속에서도 직접 키이우를 방문했다면서 다른 유럽 지도자들의 허를 찔렀다”고 보도했다.

같은 EU·나토 회원국이지만 이번 전쟁에서 서방의 대응과 동유럽 국가들이 시각이 다르다는 불편한 사실을 드러낸 장면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모라비에츠 폴란드 총리 대변인은 3명의 정상이 유럽연합(EU)을 대표한다고 밝혔지만 EU 관계자들은 "EU를 대표한다는 승인이 없었다"고 NYT에 말했다.

서방은 무기 지원과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있지만, 프랑스나 영국 등 서유럽권보다 러시아의 침공이 훨씬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동유럽 국가는 더욱 직접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이들 동유럽 정상이 직접 키이우를 방문한 것은 비행금지구역 설정, 전투기 지원과 같은 나토군의 직접 개입을 원하는 우크라이나를 지지한다는 강력한 상징이라고 NYT는 짚었다.

관련기사



우크라이나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폴란드 등 동유럽권은 '우크라이나 다음은 우리 차례'라는 두려움을 떨쳐 낼 수 없는 상황인데도 EU의 주류인 서유럽권은 경제 제재와 자금·무기 지원에 그치는 데 대한 항의성 방문이라는 의미다.

야로슬라프 카친스키 폴란드 부총리 겸 여당 대표가 이날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을 파병해야 한다고 촉구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는 이 평화유지군이 우크라이나 영토 안에서 임무를 수행해야 하며 비무장으로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AP통신은 카친스키 부총리가 레흐 카친스키 전 폴란드 대통령의 쌍둥이 형이라는 점에도 주목했다.

카친스키 전 대통령은 2008년 러시아가 조지아를 공격했을 때 조지아 수도 트빌리시를 방문했다. 그는 당시 "오늘은 조지아지만 내일은 우크라이나, 모레는 발트해 연안 국가, 그 이후에는 우리 조국 폴란드가 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모라비에츠 폴란드 총리도 이날 키이우에 가기에 앞서 이 말을 페이스북에 올려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개입에 손사래 치는 EU와 나토에 간접적으로 항의했다.

EU와 나토는 '전폭적 지지와 지원'을 약속하고 러시아를 강하게 규탄한다면서도 회원국으로 신속히 가입시켜달라는 우크라이나의 요구에 모호한 입장이다. 결국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의 요구사항 중 하나인 '나토 가입 포기'를 입에 올리며 협상장에 나서게 됐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