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금호석유 주총 안건 통과 청신호…기관 ‘찬성’ 권고 잇따라

글로벌 자문사 ISS·글라스루이스 이어

한국ESG연구소도 배당·사외이사 선임안에 찬성 권고






금호석유화학 정기주주총에서 회사 측이 제안한 안건이 통과할 가능성이 커졌다.

관련기사



금호석유화학은 정기 주주총회의 안건에 대해 한국ESG연구소가 회사 측이 제안한 주요 내용에 찬성을 권고했다고 18일 밝혔다. 한국ESG연구소는 투자자들의 정당한 주주권 행사와 책임투자를 위해 기업들의 주요 주주총회 안건을 분석하고 ESG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앞서 세계 양대 의결권 자문사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s)와 글라스루이스도 회사 측이 제안한 배당안과 사외이사 선임안에 대해 모두 찬성을 권고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ESG연구소는 보고서에서 회사 측이 제시한 배당안, 박상수 사외이사 선임 및 박상수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안에 찬성 입장을 밝혔다. 먼저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가이드라인에 의거해 회사 측이 제시한 주당 현금배당금(DPS)가 적정 수준으로 산출되었음을 분명히 했다. 연구소는 보통주 주당 1만원, 우선주 주당 1만50원의 현금 배당에 따른 배당 총액 2,809억원은 지난해 회사가 발표한 주주환원정책의 현금 배당 기준(별도 당기순이익의 20~25%)를 초과하는 수준이며 예정돼 있는 자기주식 소각까지 고려했을 때 총 주주환원 재원은 43.7%로 계획 이상의 주주환원 계획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회사가 수립한 향후 5년간의 3조5000억~4조5000억원 규모의 중장기 투자계획까지 고려했을 때 회사 측의 현금 배당안은 적합하다고 분석했다.

반면 주주 박철완이 제시한 배당안에 대해선 과다 배당으로 인한 주주가치 훼손을 우려했다. 금호석유화학의 중장기 투자계획에 따른 지출이 계획돼 있는 상황에서 최근 5개년의 지배주주순이익 평균 수준에 비해 주주제안 측이 제시한 배당금 총액은 회사에 큰 부담이 된다고 언급했다.

한국ESG연구소는 박상수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의 선임에 대해서도 찬성 의견을 제시했다. 연구소는 박상수 후보자의 과거 엘지유플러스 및 교보증권의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장(리스크관리위원장), 국민연금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 위원장 등의 다방면의 경력을 높이 평가해 이사회의 전문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