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용산을 백악관처럼" 대통령·전문가·기자 한 건물서 호흡

■'尹 집무실' 국방부 청사 낙점

국방부 청사, 청와대 4분의3 넓이

30% 인원 감축땐 참모 모두 수용

1층 기자실·6~10층 민관 위원회

美 백악관 웨스트윙처럼 조성할듯

연말께 50만㎡ 공원 국민에 개방

"일하는 대통령 모습 언제든 공개"


“국민과 소통하며 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도 국민에게 봉사하기 위한 방안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실 이전 공간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낙점한 것은 국민과의 소통과 교감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지라는 판단에서다. 윤 당선인은 청와대의 폐쇄적인 구조로는 국민들은 물론 참모들과의 소통도 어렵다고 본다. ‘공간이 의식을 지배한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소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국방부 부지에는 대통령실과 관련한 모든 시설과 인원이 들어갈 수 있으며 대통령실 바로 앞에 국민들을 위한 광활한 공원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




미국 백악관 웨스트윙의 내부 구조도(상단 왼쪽)와 하늘에서 바라본 백악관. 아래 사진은 2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밝힌 용산으로 이전할 대통령실 조감도. 연합뉴스미국 백악관 웨스트윙의 내부 구조도(상단 왼쪽)와 하늘에서 바라본 백악관. 아래 사진은 2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밝힌 용산으로 이전할 대통령실 조감도. 연합뉴스




20일 윤 당선인 측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1만 5000㎡ 규모의 국방부 청사 내에서 참모들과 민간 전문가, 그리고 기자들과 함께 상주하며 긴밀히 소통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방부 청사는 청와대 사무실 2만 1600㎡의 4분의 3 정도 넓이다. 윤 당선인 측은 청와대 인원 30% 감축을 공약했기 때문에 대통령 참모들의 모든 사무실을 해당 건물에 넣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로써 대통령과 참모의 거리를 500m(대통령 집무실 용도인 본관과 비서동인 여민관의 거리)에서 0m로 확 좁힌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공간은 아직 설계 중으로 집무실은 3~5층 중에 둔다는 계획이다. 공원을 거니는 시민들이 대통령이 업무하는 모습을 잘 볼 수 있는 공간을 검토해 보겠다는 것이다. 2~5층의 나머지 공간에는 대통령비서실장실·국가안보실장실·부속실 등 참모들의 공간이 들어선다.

특히 대통령 집무실은 미국 백악관 ‘웨스트윙’처럼 참모들이 격의 없이 오갈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될 예정이다. 미국 대통령 집무실 ‘오벌 오피스(Oval Office)’처럼 대통령과 참모들이 수시로 앉아 회의하는 테이블과 소파가 놓인 공간도 꾸밀 것으로 예상된다. 또 국무위원 회의실도 집무실과 가까운 곳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6~10층에는 민간 전문가들인 민관합동위원회 사무실이 들어선다. 민간 전문가들이 대통령과 한 건물에서 일하게 되는 것이다. 기존 청와대에 민간 전문가가 들어가려면 경호 등 몇 개의 관문을 거쳐야 했던 것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다.

관련기사



민관합동위는 민간의 경륜과 지식을 국정 운영에 활용한다는 윤 당선인 대통령실 운영의 핵심 아이디어다. 윤 당선인은 “(외부 전문가들이) 정부 요인들과 좀 자유롭게 함께 회의도 할 수 있게 하고 의사결정하는 데 좀 도움을 받고자 한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청와대 인원을 줄여서라도 외부 전문가들을 위한 공간을 많이 마련해야 한다는 구상이다.

1층에는 브리핑룸과 기자실을 둔다. 청와대에서는 춘추관으로 분리돼 있던 기자 공간을 대통령실 건물 안에 두겠다는 것이다. 주요 사안에 대해 필요하면 언제든지 대통령이 집무실에서 1층으로 내려와 기자들에게 발표하고 질의응답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윤 당선인은 “물리적 공간의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소통의 의지라는 점도 잘 알고 있다”며 “수시로 언론과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국민들과의 소통은 대통령실 건물 주변에 조성하는 50만 ㎡의 공원이 매개가 된다. 오는 6월 반환되는 용산 미군 기지 부지를 100% 공원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백악관 앞 ‘프레지던트 파크’를 본뜬 것으로 규모는 프레지던트 파크(31만 ㎡)보다 1.5배 넓다.

윤 당선인은 국방부 청사 건물 앞에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만 담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국민들이 공원들을 오가면서 대통령이 업무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대통령이 일하고 있는 모습과 공간을 국민들이 산책을 나와 얼마든지 바라볼 수 있게 한다는 정신적 교감 자체가 중요하다”며 “국가의 최고 의사 결정을 한다는 정치인이 일하는 모습을 국민이 언제든지 지켜볼 수 있다는 것, 그렇게 노출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을 훨씬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국민들이 대통령실에 접근하고 관찰하는 데 경호가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하겠다고도 덧붙였다. 그는 “국민과 소통하고 국민 곁으로 다가가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경호 체계도 바꿔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 측은 올해 말까지 공원화 작업을 마치고 개방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미군 기지 건물들을 그대로 보존하되 카페 등을 마련해 시민들이 미군 생활상도 살피는 역사적인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윤 당선인은 대통령실 인근 용산공원이 향후 돌려받을 부지를 합하면 총 155만 ㎡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외빈을 맞이하는 영빈관은 따로 짓지 않는다. 당분간은 국방컨벤션을 활용하고 향후 합동참모본부가 남태령으로 이전하면 해당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 보겠다는 방침이다. 경호처는 국방부 청사 맞은편의 시설본부 건물에 입주할 예정이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