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이후 물가 상승으로 인한 부담을 저소득층이 특히 더 심각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1일 코로나10 본격 확산 시점(2020년 초)을 기준으로 전후 2개년(2018~2019년 및 2020~2021년)의 체감물가 변화를 소득분위별로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일수록 물가 상승을 더 크게 체감했다고 밝혔다.
체감물가 상승률은 △1분위 2.7% △2분위 2.4% △3분위 2.2% △4분위 2.1% △5분위 1.9% 순이었다. 분위가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은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낮았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5분위(상위 20%)의 1.4배나 더 높았다.
한경연은 저소득층이 물가 상승을 더 크게 체감한 이유로 고소득층 대비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의 물가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상승한 점을 꼽았다.
2020년~2021년 소득 1분위의 지출 비중은 식료품·비주류음료(22.4%), 주거·수도·광열(19.6%), 보건(13.3%) 등 생필품과 건강 관련에서 높았다. 반면 5분위는 교통(14.3%), 음식·숙박(13.3%), 식료품·비주류음료(13.3%) 등으로 식료품 뿐 아니라 교통, 외식 등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 기간 1분위의 지출 비중이 5분위보다 높은 상위 3개 품목(주거·수도·광열, 식료품, 보건)의 물가는 평균 3.7% 상승했다. 반면 5분위의 지출비중이 더 높은 3개 품목(교육, 교통, 음식·숙박)의 물가는 평균 0.7% 오르는데 그쳤다. 저소득층의 경우 소득은 적은데 주로 쓰는 품목의 물가가 더 많이 오른 셈이다. 한경연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재택근무 등으로 소비자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생필품과 건강 관련 수요가 크게 늘어난데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한경연은 이에 따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물가안정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 발(發) 물가 상승 충격이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집중되는 상황”이라며 “저소득층에 대한 일자리 기회 제공을 확대해 소득을 늘리는 한편 농산물 수급 안정과 식료품 유통구조 효율화를 통해 가격 상승폭을 최소화해 저소득층 물가부담을 경감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