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1일 주재한 경제6단체와의 첫 회동은 형식부터 정부와 민간의 격을 없앴다. 윤 당선인은 역대 대통령 당선인들과 달리 재계를 대표하는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 등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로 불러 도시락 회동을 가졌다. 회동 테이블은 원탁이었다. 역대 대통령 또는 당선인이 앉고 양옆으로 기업인들이 앉는 위계적인 구도가 아니라 중소기업과 중견기업·대기업 모두 마주 볼 수 있는 테이블을 마련했다.
윤 당선인은 경제단체장들에게 “지금도 진행되고 있지만 우리나라가 이제는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 경제로 완전히 탈바꿈해야 한다”며 “자유시장경제에 대한 믿음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인프라를 만들고 뒤에서 도와드리고, 기업이 앞장서서 일자리를 만들어내면서 투자도 하고, 이렇게 기업이 커가는 게 나라가 커가는 것 아니겠느냐”고 덧붙였다.
윤 당선인의 이 같은 발언은 대통령 당선인 가운데 가장 친(親)시장적인 발언이다. 사실 대부분의 대통령 당선인은 공개적으로 기업에 우호적인 신호를 주지 않았다. 직전 보수 정부였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당선 이후 일주일 만에 찾은 경제단체는 중기중앙회였다. 박 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중소기업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기업을 대표하는 전경련을 찾았다. 재계 총수를 앞에 두고 박 전 대통령은 “대기업도 변화해주기를 바란다”고 꾸짖었다. 진보 진영으로 불리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은 당선될 때마다 재계의 군기를 잡았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재계를 만나 “반칙이 허용되지 않도록 하겠다. 속임수라든지 불투명한 경영 관행이나 이런 것들은 앞으로 점점 투명하게 바꿔나가겠다”고 밝혔다.
전경련이 연루된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는 군기 잡기를 넘어 재계를 ‘적폐’로 낙인찍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직후 정부의 ‘공공 주도 일자리’에 유감을 표한 경총을 향해 “사회적 양극화를 만든 주요 당사자로서 책임감을 느끼고 진지한 성찰과 반성이 먼저 있어야 한다”고 질타했다. ‘반(反)기업’ 기조에 반발한 여론으로 인해 취임 후 79일 만에 기업 총수들과 공식 회동한 문 대통령은 면전에서 “새 정부의 경제 철학을 기업인들이 공유하기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역대 대통령 가운데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 기업 활동을 돕겠다고 나선 당선인은 “비즈니스 프렌들리 정부로 만들겠다. 진정으로 기업이 원하는 규제를 풀겠다”고 말한 이명박 전 대통령 정도다.
하지만 윤 당선인은 이날 기업들을 향해 이명박(MB) 정부 이상의 기업 친화적인 메시지를 던졌다. 윤 당선인은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을 내건 성장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기업들에 협조를 요청했다. 그는 “양극화가 과거에 크게 부각되지 않은 것은 능력을 갖추면 잘살 수 있다는 사회적 이동성이 원활했기 때문이었으나 지금은 부모의 지위와 신분이 세습되는 사회로, 이 구조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국가 전체의 역동적이고 도약적인 성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특히 "해외에 도전하는 것은 올림픽에 출전하는 국가대표선수나 다름 없다. 운동복도 신발도 좋은것 신겨보내야 하는데, 모래주머니 달고 메달 따오라 한 것이나 다름없었다"며 "새 정부는 여러분들이 힘들어 했던 부분들을 상식에 맞춰 바꾸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이어 기업인들에게 "공무원들이 말도 안되는 규제 하려고 하고 갑질하면 바로 전화하시라. 그것만큼은 내가 바로 전화 받겠다"고 강조했다. 또 “저와 언제든 직접 통화할 수 있게 하겠다. 기탄없이 의견을 전달해달라”며 기업과 ‘핫라인’을 구축하겠다고도 했다.
기업인들도 화답했다. 손 회장은 “기업인이 공감하는 말씀을 많이 해주셔서 기업인의 기대가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도 “진취적 소통 플랫폼 마련, 경제 안보 등을 민관이 함께해야 한다”며 윤 당선인이 약속한 민관합동위원회의 참여 등을 타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