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尹 “나도 靑가면 좋지만…국민감시 없으면 불통·부패 시작"

"국민이 대통령 집무실 마음대로 볼 수 있게 해야"

尹 집무실 용산 이전 요청은 '권력 견제'가 이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나도 청와대에 들어가서 편안하게 하고 싶지만, 국민의 감시가 없어지면 불통과 부정부패가 생기는 것”이라며 통의동 임시 사무실에서 집무를 고집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팀장인 김용현 전 합동참모본부(합참) 작전본부장은 21일 TBS라디오 ‘신장식의 신장개업’에 출연해 ‘청와대에 안 들어가려는 이유가 궁금하다’는 질문에 이같은 윤 당선인의 발언을 전했다.



김 전 본부장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개인적으로 청와대 들어가서 편안하게 하고 싶다. 거기 들어가면 얼마나 좋으냐. 눈치 안 보고 내 마음대로 누가 뭐라 하는 사람 없고 나도 그러고 싶다”라면서도 “정말 국민을 위하고 국가를 위한다면 그게 아니고 내가 불편하더라도 나와야 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가 편하면 그게 바로 국민의 감시가 없어지고 국민의 눈에 띄지 않으면 거기서부터 불통이 나오는 것이고, 거기서부터 부정부패가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김 전 본부장은 “공원을 앞에 만들고 대통령 집무실을 국민이 마음대로 들어와 볼 수 있게 만드는 것이 결국 대통령이 함부로 못하게 하는 견제 행위”라고 설명했다. 윤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해 국민들이 볼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한 것은 결국 ‘대통령의 제왕적 권력 견제’가 이유라는 것이다. 또 일부 여론과 문재인 정부의 반발에도 윤 당선인이 집무실 이전을 추진하는 배경은 강한 ‘공약 이행 의지’라는 설명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집무실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옮기는 계획을 확정했다. 사진은 용산 국방부 청사.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집무실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옮기는 계획을 확정했다. 사진은 용산 국방부 청사. 연합뉴스


김 전 본부장은 일부 참모가 우선 청와대에 1년 정도 들어가 있다가 집무실 이전 공사가 마무리되면 입주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윤 당선인은 “내가 불편한 것은 참을 수 있지만 국민께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은 나는 감수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김 전 본부장은 설명했다.

김 전 본부장은 청와대가 안보 문제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대한 예산 편성을 거부한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안보 공백이 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얘기”라고 단언했다. 그는 전직 합참의장들의 ‘안보 공백’ 지적에 대해서도 “(그분들이) 대통령 집무실이 국방부에 들어가는 건 동의했지만 문제는 너무 급하게 하면 불편함이 있으니 조금 천천히 하자는 것이었다”라고 설명했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