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서비스-제품 융합·혁신으로 中企 경쟁력 강화…최대 5,000만원 지원





경기도가 제조업 스마트화, 비대면 서비스업 확산 등 ICT 중심의 산업환경 변화에 선제 대응해 제조업-서비스업의 융복합을 통한 도내 중소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체질 개선에 나선다.



경기도와 경기테크노파크는 이 같은 내용의 ‘2022 제조-서비스업 융복합사업 육성·지원사업’을 추진,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23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경제 성장 및 서비스산업 투자 확대를 위해 2018년부터 추진됐으며, 업종 간 융·복합을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와 우수 사업화 모델을 보유한 유망기업을 발굴하는 데 목적을 뒀다.



지난해에는 총 9개 기업(본사업 과제 7개, 후속지원 과제 2개)을 선정해 과제 성공률 100%, 지식재산권 획득 23건, 일자리 창출 40명의 성과를 거뒀으며, ‘교통사고 알림 e-call 센서 개발’, ‘개인 맞춤형 재활 치료 서비스 개발’ 등이 우수사례로 뽑혔다.

관련기사



올해는 신규 7개 사를 발굴해 지원을 펼칠 계획으로, 지원 자격은 공고일 기준 도내 사업자등록이 되어있는 서비스업 기반 중소기업 중 우수 융·복합 과제를 보유한 업체다.

특히 △보건·의료 △교통·물류 △안전·위생 △ICT·실감콘텐츠 등 포스트 코로나 및 미래산업 관련 유망 업종을 중심으로 발굴, 심사평가 순위에 따라 2,500만 원에서 최대 5,000만 원까지 사업화 자금을 지원한다.

제안 가능한 과제는 기존 서비스를 기반으로 파생되거나 새로운 서비스 창출 등 전달체계 혁신과 관련된 ‘서비스 개발’, 제품을 매개로 다양한 이종 분야의 기능과 서비스를 융합한 ‘신제품 개발’ 2가지 분야다.

또 지난 4년간(2018~2021) 사업에 참여했던 기업 중 성과 평가를 통해 사업성 및 성장 가능성이 큰 2개 업체를 선정, 최대 1,000만 원 범위에서 후속지원의 기회를 부여할 방침이다.

참여 희망 기업은 신청서 및 계획서 등 필수서류를 갖춰 오는 4월 6일까지 경기테크노파크 성과관리시스템으로 온라인 접수하면 된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