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尹 천지·대진 원전 재개…이소영 “5G 시대에 2G 장인 추구하나”

이소영 “재생에너지 산업 규모 440조, 원전의 8배 이상”

“세계는 재생에너지에 올인…배터리·수소 산업도 성장”

“원전에 집중하다 산업경쟁력 약화될 까 우려스러워”

“러시아의 침략전쟁은 범죄…국제사회 더 강한 제재 해야”

이소영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이 지난 16일 민주당 광주시당에서 열린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이소영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이 지난 16일 민주당 광주시당에서 열린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이 23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원자력발전소 추가 건설’ 구상에 문제를 제기했다. 전날 윤 당선인 인수위 측은 신한울 원전 3·4호기에 더해 검토 과정에서 백지화됐던 천지1·2호기와 대진1·2호기의 건설 재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한울 원전은 1400MW, 천지·대진 원전은 1500MW 급이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17년 신한울 원전 3·4호기를 포함해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전면 백지화한 바 있다.



이 비대위원은 이날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글로벌 트렌드에 역행하는 윤 당선인의 에너지 정책에 유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계획대로 된다면 지난 대선 TV 토론에서 ‘짓고 있던 원전을 다 짓는 것이지 추가로 짓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던 윤 당선인의 입장에서 한참 더 나가는 것”이라며 “이러한 원전 급발진으로 글로벌 대전환의 시대에 세계적 트렌드에 역행해 산업경쟁력이 후퇴하지 않을지 걱정”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 비대위원은 재생에너지에 집중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 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해 전세계 재생에너지 산업 투자 규모가 440조 원에 달한다. 53조 원 정도인 원자력 산업 투자의 8배가 넘는다”며 “배터리나 수소산업 같은 에너지 저장 산업이 부상하는 것도 전 세계가 태양광·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에 올인하는 것에 발맞춘 변화”라고 설명했다. 이 비대위원은 “이미 전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원의 발전량은 원전을 넘어섰다”며 “이러한 명백한 흐름 속에서 원전 업계에 둘러싸여 그릇된 판단을 한다면 우리 무역·산업·경제가 위태로워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이 비대위원은 원전 추가 건설로는 탄소 배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앙집중형 대형 발전원인 원전과 분산형 발전원인 재생에너지는 같은 계통 안에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며 “신규 원전 건설이 10년 이상 걸린다는 점에서 2030년 탄소 배출 감축 목표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비대위원은 “원자력 발전의 경우 안전 문제는 물론 사용후 핵연료와 방사성 폐기물 등 처리할 최종 시설이 없는 ‘화장실 없는 발전소’라는 점은 구태여 더 자세히 설명할 필요도 없다”며 “윤 당선인은 원전 최강국을 만들겠다는데 5G 시대에 2G 장인이 되는 것이 경쟁력이 있겠느냐”고 따져 물었다.

한편 이 비대위원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강력하게 규탄하기도 했다. 그는 “유엔 인권사무소에 따르면 러시아의 침략으로 민간인이 최소 953명 사망했고 그 중 어린이가 78명”이라며 “피난민 1천만 명 중에 150만 명이 어린이라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간인 폭격을 포함해 침략전쟁은 어떠한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는 범죄일 뿐”이라며 “모든 전쟁은 반인권 반생명의 야만이다. 러시아는 즉각 전쟁을 중단하고 국제 사회는 더 강력하게 러시아를 제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