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尹당선인, 25일 中시진핑 주석과 통화…북 ICBM 도발 테이블 올릴 듯

급박한 정세에 中과 이례적 통화

"中, 韓과 관계개선 나서" 해석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 마련된 당선인 사무실에서 싱하이밍 주한 중국 대사로부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축전을 전달받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 마련된 당선인 사무실에서 싱하이밍 주한 중국 대사로부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축전을 전달받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5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첫 번째 통화를 한다.

관련기사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24일 브리핑에서 “시 주석과의 통화가 이번 주 내에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통화 시간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25일 오후가 유력하다. 대통령 당선인 신분으로 중국 주석과 통화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대변인은 “상대 국가 지도자가 대통령이나 총리로 정식 취임한 후에 통화 일정을 잡는 것이 관행이었지만 이번에 깨질 것 같다”고 설명했다.

기존 외교 관례의 틀을 깨고 이례적으로 통화가 이뤄진 데는 최근 급박하게 돌아가는 한반도 정세가 작용했다는 평가다. 김 대변인은 “핵실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 모라토리엄 파기 위협 등 군사적 긴장이 높아가는 상황에서 아시아태평양과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과의 긴밀한 공조가 필요했다”며 통화 조율의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이날 북한이 ICBM 시험 발사를 감행하면서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한중 간 협력 방안과 관련한 의견도 나눌 것으로 예상된다.

윤 당선인이 미국을 강조하며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도 힘을 싣자 중국 역시 차기 한국 정부와의 관계 관리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에 비교적 강경한 목소리를 낼 것으로 예상됐던 윤 당선인도 지정학적 불안감이 고조되면서 인접한 중국과 순조로운 출발을 꾀한 것으로 보인다. 25일 시 주석과 통화가 이뤄지면 윤 당선인은 선거 이후 보름 만에 미국·일본·중국 정상과 모두 인사를 하게 된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