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3축체계 복원' 예고한 尹…북한 도발에 취임 전부터 정국 악화

'대북 강경' MB 인사, 새 정부에 다수 입각할 듯

'비핵·개방·3000' 설계한 'MB맨' 김태효도 합류

尹정부 기간 북한 핵능력 고도화 우려 나오기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5일 점심식사를 위해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집무실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5일 점심식사를 위해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집무실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 출범을 46일 앞두고 한반도 정세에 먹구름이 잔뜩 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부터 북핵·미사일 대응 '3축 체계'(킬체인·미사일방어·대량응징보복) 복원 의지를 분명히 했다. 대북 강경 기조의 이명박 정부(MB) 다수 인사가 새 정부에 합류할 것으로도 보인다. 이 가운데 북한이 지난 24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 17호'를 시험발사하며 윤 당선인 취임 전부터 정국이 급속도로 악화하는 모습이다.

관련기사



25일 외교가에서는 윤 당선인이 3축 체계 복원과 함께 MB식의 대북 강경책을 펼쳤다가는 남북 관계가 파국을 맞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윤 당선인의 대북 정책이 MB정부의 대북 정책 '비핵·개방·3000'과 유사한데, 당시 남북 관계가 크게 경색됐다는 점에서다. 비핵·개방·3000을 설계한 김태효 성균관대 교수가 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안보분과 인수위원으로 합류한 점도 눈길을 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비핵·개방·3000은) 북한 체제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던 구호"라며 "북한이 핵보유국이 된 만큼 (새 정부가) 보다 균형 있는 정책을 펼쳤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도 "정책도 같고 추진하는 사람도 같으면 결국 결과는 뻔하지 않으냐"면서 윤석열 정부 기간 △한미 동맹 강화 △북한 핵능력 고도화 △한반도 긴장감 고조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다음 달 15일 '태양절'(김일성 주석 생일)과 중하순 한미연합군사훈련 등 계기에 북한이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에 따라 한미 정상이 이른 시일 내에 공동의 대북 메시지를 발신, 한반도 상황을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다만 윤 당선인 측은 취임 전까지 미국 행정부와의 추가 논의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지금 국군통수권자이자 외교안보를 총괄하는 장은 문재인 대통령"이라며 "(미국과) 북한 문제 해법을 같이 도모하는 것은 문 대통령이 하시는 게 맞는다"고 일축했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