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끝없는 ‘제로 코로나’ 정책에…피로감 ↑ 中 시민

중국 수도 베이징 도심의 '드럼타워' 앞에 설치된 코로나19 검사소가 지난 23일 주민들로 붐비고 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는 중국은 전날까지 사흘째 4000명대 신규 감염자를 기록했다. /베이징 AP=연합뉴스중국 수도 베이징 도심의 '드럼타워' 앞에 설치된 코로나19 검사소가 지난 23일 주민들로 붐비고 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는 중국은 전날까지 사흘째 4000명대 신규 감염자를 기록했다. /베이징 AP=연합뉴스





2년 넘게 이어져온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중국 시민들의 피로감이 극심해지고 있다고 CNN방송, 뉴욕타임스(NYT) 등이 25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정부 장역 정책에 대한 비판이 금기시됐던 과거와 달이 최근 온·오프라인에서 불만이 공개적으로 표출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중국 광둥성 선전시에서 지난 20일 봉쇄 조치에 항의하는 주민들의 시위가 벌어졌다. 소셜미디어에서 확상한 동영상에는 한 주민이 방역 당국 관계자를 향해 “먹고 살아야 한다”는 모습이 담겼다. 다른 동영상에는 한 주민은 “봉쇄를 해제하라”고 외쳤다. 이달 초 광저우시 컨벤션 센터에서는 국제미용박람회를 보러 온 4만9000명이 박람회장에 봉쇄됐다. 밀접접촉자가 다녀갔다는 이유에서다. 현장 동영상에는 봉쇄조치에 갇힐 수 없다며 담장을 넘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겼다는 게 CNN의 설명이다. 또 지난해 여름 상하이 한 의사가 “중국도 언젠가는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가 우익 네티즌의 집중 폭격을 받았던 때와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전했다.

봉쇄조치의 불편함에도 중국 확진자 수는 급증하고 있다. CNN은 중국 28개 성의 이번 달 확진자 수가 5만6,000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상당수가 무증상자다. 그동안 낮은 수준으로 확진자 수를 통제해 오던 상하이도 이날 확진자 수가 처음으로 2000명을 넘었다. 오미크론 변이의 빠른 확산 탓이다. 중국 당국은 민항구 일부 지역을 봉쇄하고, 주민을 전수 검사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제로 코로나’ 정책이 언제 끝나는지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