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 마포구 서울창업허브 컨퍼런스홀에서 ‘노타이’ 정장 차림으로 연단에 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산업구조를 더 첨단화·고도화시켜 나가야 되는 책무를 다음 정부가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인수위원회 관계자 200여 명이 처음 모인 워크숍을 개최한 취지를 이같이 설명한 것이다.
윤 당선인의 이 발언은 코로나19로 전 세계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인수위가 마련할 국정 과제 전반에 이 같은 산업구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구상을 반영해달라는 요청으로 풀이된다.
윤 당선인은 디지털을 통해 세계를 선도하겠다는 목표 의식이 확고하다. 그는 후보 시절 ‘디지털 경제 패권국가’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또 정부 시스템을 ‘디지털플랫폼 정부’로 개편하겠다고 공약했고 ‘100만 디지털인재 양성’이라는 목표치를 내세우고 관련 교육 과정 강화도 약속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서울경제와 통화에서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산업으로 고도화해야 국가가 혁신 성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워크숍은 30일 각 분과들이 기획조정분과에 국정 과제 후보안을 제출하기에 앞서 마련됐다.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해 디지털 강국 국정 운영 전략·방안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자리였다는 게 인수위 측 설명이다. 인수위는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전문가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AI To Everything Lab) 연구소장으로부터 ‘인공지능(AI)에서 메타버스까지 디지털 전환’에 대한 강연을 들었다. 중대한 과제를 앞둔 워크숍인 만큼 드레스코드 ‘캐주얼’에도 절반가량은 정장 차림을 하는 등 활기찬 분위기 속에서도 긴장감이 없지 않았다.
윤 당선인은 워크숍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경제”라고도 말했다. 시장경제를 존중하는 윤 당선인은 경제 성장에 중점을 두고 저성장 극복을 필수 과제로 언급해왔다. 윤 당선인은 앞서 경제 6단체장들과 만난 자리에서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믿음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경제정책의 원칙과 방향으로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을 제시하는 등 복지 역시 경제 성장을 통하자는 철학을 가지고 있다. 윤 당선인은 경제가 곧 민생이라는 생각으로 첫째도 경제, 둘째도 경제라고 강조한다는 게 윤 당선인 측 설명이다.
이날 경제 전문가로 강연에 나선 김형태 김앤장법률사무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의 변화와 한국경제의 대응방향’을 주제로 인수위 관계자들에게 경제 지식을 전수했다. 당초 인사말을 한 뒤로 행사장을 떠날 예정이었던 윤 당선인도 김 이코노미스트의 강연까지 들으며 자리를 지켰다.
윤 당선인은 인수위가 국정 과제를 선정할 때 가장 중시해야 하는 가치로 “실용주의와 국민 이익”을 꼽았다. 윤 당선인은 국정 운영 방향을 두고 실용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그는 앞서 안철수 인수위원장과의 단일화 공동선언을 통해 “시장 친화적인 정부가 돼 이념과 진영이 아닌 과학과 실용의 정치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인사를 통해서도 실용의 가치를 구현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인수위원 인선에서 박근혜 정부 출신은 물론이고 문재인 대통령이 한때 영입했던 유웅환 전 SK혁신그룹장을 포함한 것은 ‘실용’ 우선 원칙을 반영한 것이라는 게 윤 당선인 측 설명이었다. 이 같은 기조는 내각 인사에도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윤 당선인은 인수위원들을 향해 문재인 정부의 정책 중 계승해야 할 것을 추려달라고도 주문했다. 윤 당선인은 “현 정부에서 잘못한 것은 왜 이런 일이 생겼는지 잘 판단해야 한다”면서도 “현 정부가 한 일 중에서도 계속 인수해서 계승해야 할 것들을 국민의 이익을 위해서 잘 선별해 다음 정부까지 끌고 가야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기존 정부들이 ‘애니싱 벗’ 식으로 전임 정부의 정책을 비토했던 것과 차별화하는 접근 방식이다. ‘탈원전 백지화’나 ‘여성가족부 폐지’ 등 이념적이고 시대착오적이라고 판단한 정책은 과감히 폐기하지만 국민의 이익에 부합하는 정책은 진영을 따지지 않고 계승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인수위는 각 부처에 계승할 만한 과제를 보고하도록 요청했다. 김 대변인은 “예전 정부와 같이 적대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실사구시로 정책을 취사 선택하겠다는 것”이라며 “실효성 있고 심화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은 계승하겠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